DBR 필자
DBR 필자와 필자의 아티클을 소개합니다.
-
최병철
한국외국어대 경영대학 경영전략 교수
한국외대 경영대학 경영전략 교수
필자는 연세대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오리건주 포틀랜드주립대에서 기술경영으로 석사를, 뉴욕주 런슬레어공과대학에서 기술혁신전략을 졸업 논문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창업지원단장을 맡고 있다. 주 연구 분야는 기업벤처링(corporate venturing)과 기술경영(technology management)이다.
-
고민삼
한양대 ERICA ICT융합학부 교수
한양대 ERICA ICT융합학부 교수
고민삼 교수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지식서비스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인공지능연구원, 삼성전자에서 근무했다. 2022년부터 딜라이트룸의 연구책임자를 겸직하고 있다. HCI 분야 국제 저명 학술대회에 논문을 다수 게재했고 세계컴퓨터연합회(ACM)가 주최한 ‘컴퓨터 지원 공동 작업 및 소셜 컴퓨팅(CSCW)’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학회(CHI)’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인간-인공지능 상호작용 연구실을 이끌며 HCI 분야에 AI 기술을 응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송시연
필자는 숙명여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일반 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아 조절, 컬러 마케팅, 그린 마케팅이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선임 연구원으로 정책 연구를 담당했으며 현재 백석대 경상학부에서 소비자 행동론, 서비스 마케팅론을 강의하고 있다.
-
조시영
보로노이 CSO, 『스타트업 대표가 돼볼까 합니다』 저자. [email protected]
조시영 보로노이 CSO(Chief Strategy Officer)는 경제신문 기자와 벤처기업 임원을 ‘본캐’로, 스타트업 공동 창업자, 엔젤클럽 회원, 액셀러레이터 파트너를 ‘부캐’로 활동하며 스타트업의 창업부터 상장(IPO)까지 전체 사이클을 직접 경험했다. 서울대 학사와 미국 미시간대 경영학 석사(MBA) 과정을 졸업하고 애널리스트 스쿨, 전문 엔젤투자자 과정, 상장 전문가와 경영자 과정 등을 수료했다.
-
이선미
㈜티비에이치글로벌 차장
㈜티비에이치글로벌 차장
필자는 15년 차 마케터다. 패션 기업 TBH GLOBAL에서 마케터, MD, 마케팅팀장 등을 거쳐 현재는 온라인 사업부장을 맡고 있다. 트렌드의 최전선 패션업계에 종사하며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2021년 5월 『영 포티, X세대가 돌아온다』를, 2022년 9월 초보 마케터와 직장인들을 위한 글쓰기 실용서 『마케터의 글쓰기』를 출간했다.
-
최재화
번개장터 대표 [email protected]
-
조영헌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필자는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의 방문 학자와 하버드-옌칭 연구소 방문 연구원을 거쳐 서울대 동양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 근세 시대에 대운하에서 활동했던 상인의 흥망성쇠 및 북경 수도론이 주된 연구 주제이고, 동아시아의 해양사와 대륙사를 겸비하는 한반도의 역사 관점을 세우는 데 관심이 있다. 저서로 『대운하 시대, 1415-1784: 중국은 왜 해양 진출을 ‘주저’했는가?』 『대운하와 중국 상인: 회양 지역 휘주 상인 성장사, 1415-1784』 『엘로우 퍼시픽: 다중적 근대성과 동아시아(공저)』 등이 있다.
-
존 리스트
시카고대 경제학부 교수
-
이혜환
메텔 COO
메텔 COO
이혜환 COO는 5인 미만의 소규모 팀부터 350명에 달하는 대형 조직까지 다양한 단계에 있는 스타트업과 벤처투자사에서 서비스 운영과 제품 PO를 맡아왔다. 서강대 MBA를 졸업하고 국내 유일의 글로벌 B2B 마케팅 컨설팅 기업인 메텔에서 운영총책임(COO) 및 국내 링크트인 커뮤니티 운영, 강의 등을 진행하고 있다. 링크트인(www.linkedin.com/in/hyehwanlee)에서 다른 글을 확인할 수 있다.
-
강양석
딥스킬 대표
딥스킬 대표
필자는 딜로이트컨설팅 전략팀장, 글로벌 1억 명 사용자 비즈니스 플랫폼의 최고전략임원(CSO), 인공지능 서비스 상장사 최고운영임원(COO)을 거친 경영자 출신 데이터 전략가이다. 현재 딥스킬(deepskill.io)의 대표로 강의, 출판, 컨설팅을 통해 데이터 사고력(Soft skill)과 툴을 다루는 힘(Hard skill)의 균형을 확산시키고자 한다. KT그룹, 현대자동차그룹, KB금융그룹 임원을 대상으로 디지털 및 데이터 관련 강의를 했다. 2021년 국가인재원 데이터 리터러시 분야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2022년 행정안전부 장관상(데이터 사고력 공적 인정)을 수상했으며, 저서로 『데이터로 말하라(2015)』, 국회도서관 추천 도서인 『데이터 리터러시(2021)』가 있다. 고려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
김범준
가톨릭대 회계학과 교수
가톨릭대 회계학과 교수
필자는 서울대 경영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인회계사이며 삼일PwC에서 통신 및 방송산업 전문가로 전략 및 운영 컨설팅을 수행했다. 2015년 가톨릭대 교수로 부임했으며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회계전문위원장을 역임했다. 통신 및 방송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방송통신위원장 표창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성과평가와 보상, 전략적 원가관리, 기업지배구조이다.
-
마이클 아레나(Michael Arena)
아마존웹서비스의 인재개발 부문 전무
-
이재희
세무법인 혜움 대표 세무사
-
조성우
딜로이트안진 전무
-
권진희
딜로이트안진 시니어 매니저
-
안장현
딜로이트안진 상무
-
임이숙
한양대 ERICA 경영학과 교수
한양대 ERICA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연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조직이론, 사회 네트워크, 기업가정신이다.
-
이용훈
텍사스 A&M대 경영대학 경영관리 교수
텍사스 A&M대 경영대학 경영관리 교수
필자는 고려대에서 경영학 학사, 석사학위를 받고 프랑스 인시아드(INSEAD)에서 조직 행동(Organizational Behaviour)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콩과기대 경영대에서 조교수로 일했으며 현재 미국 텍사스 A&M대 부교수다. 혁신을 요구하는 산업에서의 네트워크, 사회적 정체성(social identity), 사회적 불평등에 관해 주로 연구한다.
-
피도연
파이퀀트 대표
-
박혜민
前 HGI 투자본부 심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