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azine • 혁신
웰빙 조직문화 혁신도 CFO 핵심 과제 인센티브 재설계로 장기 가치 창출해야
Article at a Glance조직문화는 단순히 기업 이미지나 직원 만족도를 높이는 수단이 아니다.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재무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CFO들은 단기적 재무목표뿐만 아니라 조직의 핵심 자산인 조직문화를 혁신하기 위해 적극 ...
413호 (2025년 3월 Issue 2)“양자컴퓨터판 ‘알파고 순간’ 10년 내 온다 GPS 위치 해상도 1㎜ 이하 초정밀화 가능”
Article at a Glance양자 기술의 상업적 이점을 가장 빠르게 찾을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는 양자 센싱 및 시뮬레이션이다. 양자역학적 원리를 활용한 원자 시계(atomic clock)의 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키면 1㎜보다도 훨씬 작은 수준의 위 ...
412호 (2025년 3월 Issue 1)에너지-신약-물류 ‘게임체인저’ 될 양자컴 韓 기업, 제조 역량 무기로 ‘슈퍼을’ 전략을
Article at a Glance양자역학적 원리를 활용하는 양자컴퓨터는 고전 컴퓨터에서는 천문학적인 시간이 걸려도 풀 수 없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금융, 제약, 보안, 물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412호 (2025년 3월 Issue 1)‘지속가능성 위한 혁신’은 리스크 동반… 작은 프로젝트로 테스트를
Based on “Sustainability oriented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values: a cluster analysis” (2024) by Rubio-Andre´s, M., & ...
412호 (2025년 3월 Issue 1)적합한 수술-시력 예측하는 AI 개발 58만 안 데이터 앞세워 세계인 눈 밝힌다
Article at a Glance1994년부터 시력교정술을 시행하면서 국내에서 시력교정술의 정착을 이끈 비앤빛안과는 수술 성공 가능성을 과대 포장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원칙을 앞세웠다. 타깃 고객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그들에게 걸맞은 공간을 ...
411호 (2025년 2월 Issue 2)엔비디아-현대차-도요타, 화두는 ‘협업’ “자율주행기업과 협력 통해 SDV 혁신”
Article at a GlanceCES 2025에서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모빌리티 기업이 자율주행, AI 등 첨단 기술의 상용화에 집중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독자적인 기술로 승부를 보는 대신 테크 기업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대안을 제안하려는 시도가 ...
410호 (2025년 2월 Issue 1)고객 경험 전략 핵심은 약점 보완 ‘가장 약한 고리’가 몸통을 흔든다
Article at a Glance고객은 기업의 매출, 판매를 이끄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높은 수익성을 원한다면 기업은 고객 경험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전통적으로 기업들이 고객 경험의 초점을 주로 구매 이전 단계에 맞췄다면 이제는 사용 시점을 ...
408호 (2025년 1월 Issue 1)‘해커식 사고’가 혁신을 향한 지름길 허점 찾고, 편승하고, 패턴을 끊어라
Article at a Glance시간과 예산, 자원이 충분해야만 혁신이 가능하다는 말은 틀렸다. 그 모든 것이 부족하더라도 혁신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문제를 해결할 땐 지나치게 근본적인 부분부터 접근하지 않아도 된다. 장애물을 우회 ...
408호 (2025년 1월 Issue 1)소비자와 지구, 모두 안전한 잠을 꿈꾸다
Article at a Glance슬리포노믹스 시장의 성장과 함께 더 나은 수면 환경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N32는 집요한 연구와 개발을 통해 기성 폼 매트리스의 단점을 보완하고 생산 과정은 물론 폐기 시에도 자연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
406호 (2024년 12월 Issue 1)사용자 경험 넘어 ‘총체적 경험’으로 앱 생태계 구축한 SW정의차량이 뜬다
Article at a Glance소프트웨어정의차량(SDV)과 차량 운영체제, 사용자 경험(UX). 전기차 시대에 주목받는 키워드들이다. ‘퍼스트 무버’ 테슬라의 선도 아래 전기차의 사용자 경험은 그 범위를 꾸준히 확장해왔다. 자 ...
406호 (2024년 12월 Issue 1)배터리 안전 문제 돌출 불확실성 커져 산학연 손잡고 혁신 파이프라인 구축을
Article at a Glance배터리는 전기차 생산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이다. 차량의 항속 거리와 편의성, 안전성을 규정하는 부품이기도 하다. 최근 발생한 전기차 배터리 화재 사고는 전기차의 안전성을 의심하게 만들 정도로 소비자들에게 ...
406호 (2024년 12월 Issue 1)“안 입는 옷, 문 앞 내놓으면 팔아드려요” 중고 거래 꺼렸던 고객들, 옷장을 열다
Article at a Glance중고 패션 커머스 플랫폼 차란이 론칭 이래 빠르게 성장한 비결은1. 중고 거래를 안 하는 사람을 중고 시장에 참여시키기 위해 새 옷을 파는 쇼핑 앱만큼이나 획기적으로 편리한 중고 의류의 온라인 쇼핑 경험을 제공했다. ...
405호 (2024년 11월 Issue 2)AI 기반 혁신의 축은 기술보다 리더십
Article at a GlanceAI 기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고 속도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지멘스그룹은 여러 실수를 범했다. 이들이 범한 중대한 실수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지나치게 빠르고, 지나치게 느렸다’였다. 일부 ...
404호 (2024년 11월 Issue 1)제품디자인서 복잡한 공정까지 최적화 생성형 AI 최고의 전략은 ‘기업 간 협력’
Article at a Glance글로벌 제조업계가 급격한 디지털 혁신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GM은 생성형 디자인(Generative Design) 기술로 차량 개발에 필요한 수천 가지의 디자인을 빠르게 개발해 평가하고 있으며 BMW는 AI 기반 ...
404호 (2024년 11월 Issue 1)데이터 쌓기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 시나리오 기반으로 운용 방식 전환해야
Article at a Glance점점 더 많은 기업이 3D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려 하지만 현실에 적용하는 데는 여전히 걸림돌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데이터 사일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기반의 데이터 전환&r ...
404호 (2024년 11월 Issue 1)공장 자동화 초기엔 기술 한계로 난관 이젠 운용 전략 등 재무적 문제에 달려
Article at a Glance완전 자동화를 위한 기업들의 시도는 관련 사업 초기, 번번이 실패했다. 로봇의 설치와 유지보수에 고도로 숙련된 인력이 동원되다 보니 인건비 절감 효과가 제한적이었고, 예기치 못한 상황에 적응하는 능력이 부족했으며, 일 ...
404호 (2024년 11월 Issue 1)“디지털 트윈 핵심은 가상화 아닌 데이터 표준화-안정화가 지능형 공장의 기초”
Article at a Glance디지털 트윈 기술의 핵심은 3D 가상화가 아닌 데이터다. 현대차그룹이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테스트베드로 삼아 구현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도 전체 공장의 100% 데이터화, 100% 커넥티비티(conne ...
404호 (2024년 11월 Issue 1)“의사결정 신속히, 인재 채용 폭넓게” 체질 개선이 ‘혁신 향한 신약’이었다
Article at a Glance유한양행이 국산 항암제 최초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폐암 신약 ‘렉라자’를 도입(라이선스 인)하고 수출(라이선스 아웃)한 데 이어 상용화에 따른 수익까지 공유할 수 있게 된 것은 2015년부터 ...
403호 (2024년 10월 Issue 2)“제조업은 안보 이슈” 선진국들 컴백 AI 융합 ‘자율 제조’에 산업 미래 달려
Article at a Glance최근 북미 기업들의 투자 동향을 보면 제조업의 ‘새로운 르네상스(Neo-Renaissance)’가 태동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20여 년간 고수하던 ‘연구개발과 제품 설계 ...
400호 (2024년 9월 Issue 1)사면초가 이커머스, 지금이 마지막 혁신 기회
올해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큰 깨달음이 있다. 한국의 유통산업은 갈라파고스처럼 갇힌 생태계 속에 있지 않다는 사실 말이다. 2023년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의 한국 사업 강화는 한국 온라인 쇼핑산업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방아쇠가 됐다. 알리와 ...
398호 (2024년 8월 Issu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