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능한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는 것은 기업의 핵심 과제다. 그저 돈만 있다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인재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기업 고유의 조직문화를 갖추는 것이 금전적인 이슈 못지않게 중요하다. 자유로운 히피 문화를 중심에 둔 벤앤드제리스 아이스크림, 직원 행복과 즐거움을 최우선으로 하는 사우스웨스트 항공이 ‘일하고 싶은 기업’으로 꼽히는 이유다. 이 관점에서 문화예술경영 접근법은 매우 효과적이다. 특이한 경영진이나 오너에게 의존하지 않고도 구조적으로 매력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경영 요소는 구성원들의 공통분모로서 소통의 단초이자 과정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우리 조직에 적합한 문화예술경영 요소를 찾는 과정 자체가 조직의 아우라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편집자주 | 본 원고는 홍익대학교 전략경영연구회(김민석, 김보경, 김수현, 김하늘, 서재용, 송지영, 진예원, 최윤서, 최재신)의 도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기업은 우수한 인적자원을 모집하고 유지하기 위해 보통 금전적 보상이나 논리적 설득을 활용한다. 하지만 사람은 돈이나 이성만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사람들의 감각을 직접 자극하는 문화예술경영 접근법이 조직 관리 분야에서 빛을 발하는 이유다.
기업 인사 담당자의 고민은 직원의 채용과 유지에 있다. 일하고 싶은 지원자를 충분히 확보해 그중에서 적임자를 뽑는 것은 기본이다. 나아가 이미 근무하고 있는 유능한 직원들이 다른 곳으로 이직하지 않도록 단단히 붙들어 둬야 한다. 대체로 인사 담당자들은 이 과정에 큰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을 잘 안다. 그래서 최소한의 연봉을 계산하거나 비용 절감을 위해 서류 심사에 인공지능을 도입한다. 인사 업무를 아웃소싱하는 것을 고민하기도 한다. 문제는 효과적인 채용과 유지가 금전적 이슈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높은 임금을 제시하면 많은 지원자를 유인할 수는 있지만 역으로 높은 임금만을 원하는 약삭빠른 지원자만 주로 유인하는 문제를 만들 수 있다. 이런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더 높은 임금을 제시하는 직장이 나타나면 쉽게 이직의 길에 들어선다.
사실 이상적인 형태는 누구나 알고 있다. 다른 기업과 비슷한 수준의 보수를 제시하고 우수한 인재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평판을 갖춘 후 회사의 인재상과 부합하는 사람을 잘 가려서 모으는 것이다. 이를 위한 좋은 토대이자 해법이 바로 회사 고유의 조직문화를 창조해 널리 알리는 것이다. 우리는 이런 조직문화 구축에 성공한 사례로 적어도 두 개의 기업을 잘 알고 있다.
신형덕 교수는 서울대에서 경영학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오하이오주립대에서 전략경영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버지니아주 조지메이슨대를 거쳐 2006년 홍익대 경영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주된 분야는 전략경영, 국제경영, 창업, 문화예술경영이다.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장, 홍익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초대 원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기업 윤리와 사회적 책임』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문화 소비 트렌드 2025』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