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정재승의 Money in the Brain

뇌를 알면 쇼핑 패턴이 보인다

정재승 | 21호 (2008년 11월 Issue 2)
한때 베스트셀러에 오른 자기계발서 ‘마시멜로 이야기’에는 흥미로운 에피소드가 소개돼 있다. 네 살짜리 어린이들에게 달콤한 마시멜로 하나를 주면서 그것을 곧바로 먹지 않고 15분만 참으면 한 개를 더 주겠다고 약속한다. 어린이 중에는 15분 동안 참았다가 하나를 더 받는 경우도 있었고, 달콤한 마시멜로의 유혹을 이기지 못해 곧바로 먹는 바람에 추가로 더 받지 못한 어린이도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한 연구팀이 이 시험에 참여한 어린이들을 계속 추적해 본 결과 끝까지 먹지 않고 참았다가 마시멜로 두 개를 얻은 어린이들이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목표를 설정한 뒤에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력과 고통을 참아내는 인내가 필요하다는 교훈을 준다. 참고 견디는 사람만이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커다란 기쁨 주는 ‘쾌락의 중추’
이 이야기를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해석해 보자. 우리 뇌에는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중요한 부위가 있다. 바로 측좌핵(nucleus accumbens)과 복측 선조체(ventral striatum)가 포함돼 있는 ‘쾌락의 중추’다. 뇌 가운데 안쪽 깊숙한 곳에 위치한 이 영역은 자극을 받으면 큰 기쁨을 느낀다. 아이들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먹을 때, 어른들이 술이나 담배를 할 때, 마약이나 섹스를 할 때 자극받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 스키너 박사는 두 개의 레버가 달린 상자에 쥐를 집어넣는 실험을 했다. 이 상자에 있는 두 개의 레버 중 하나를 누르면 먹을 것(food pallet)이 조금씩 나오고, 다른 레버를 누르면 쾌락의 중추인 복측 선조체에 전류가 흘러 쥐가 쾌락을 느끼게 된다. 이 상자 안에 쥐를 넣어두면 쥐들은 쾌락의 중추를 자극하는 레버를 열심히 누르다가 굶어 죽는다고 스키너는 보고했다.(우리 연구실에서도 비슷한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요즘 쥐들은 영악해서 쾌락의 중추를 자극하는 레버를 열심히 누르다가 ‘굶어 죽지 않을 정도만 가끔’ 먹을 것을 나오게 하는 레버를 눌러 아사 직전 상태에서 생존한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뇌’에서 주인공을 파멸에 이르게 하는 것도 바로 이 쾌락의 중추다. 주인공은 리모컨을 누르면 복측 선조체에 미약한 전류가 흘러 쾌락을 느끼게 하는 장치를 자신의 몸에 장착하고 쾌락에 탐닉해 산다. 그러나 쾌락은 늘 더 강한 자극을 부르는 법! 그는 자신의 뇌에 좀 더 강한 전류를 흐르게 하다가 결국 뇌에 큰 손상을 입는다.(이 소설에서 주인공은 나중에 한 여성과 섹스를 나누는 도중 자신의 ‘쾌락의 중추’에 강한 전류를 흐르게 해 초강력 자극을 받다가 복상사한다)
 
이처럼 ‘쾌락의 중추’는 우리에게 목표와 동기를 갖고 행동하게 만든다. 특정 목표를 성취했을 때 얻는 기쁨은 온전히 이 영역에서 만들어진다. 우리는 이 영역을 자극받기 위해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신경과학자들은 입을 모아 주장한다.
 
작은 쾌락을 찾는 인지기능
그러나 우리가 늘 쾌락에만 빠져 사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더 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작은 기쁨을 참고 견디기도 하며, 행동에 앞서 ‘노력에 대비해 얻을 수 있는 쾌락의 정도’를 수학적으로 따지기도 한다. 이런 고차원적인 인지 기능은 우리 뇌 가운데 이마 바로 뒤에 있는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에서 수행한다. 이 영역은 우리 앞에 놓인 상황을 파악하고, 미래 상황을 예측하며, 다음 행동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영역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모든 고등한 의사결정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영역의 기능 가운데 중요한 것이 ‘쾌락의 중추를 억제하는 기능’이다. 우리가 시도 때도 없이 쾌락에 빠지지 않도록 복측 선조체와 측좌핵을 억제하고 이성적으로 행동하도록 만드는 것이 전전두엽의 주요 역할이다.
 
이 상호작용을 프로이트식으로 해석하면(프로이트의 ‘무의식에 대한 이론’이나 ‘꿈에 대한 해석’은 신경과학자들이 전혀 인정하지 않지만, 뇌회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식적으로 표현하면) 쾌락의 중추가 우리의 ‘이드’(인간 정신의 밑바닥에 있는 원시적·본능적 요소. 쾌락을 추구하는 쾌락 원칙에 지배되며, 즉각적인 욕구 충족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한다면 전전두엽은 ‘슈퍼에고’(인격의 사회가치·양심·이상의 영역.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영역이라고 봤지만 사실은 의식의 한복판에 있다)에 해당한다. 이들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우리는 자아(에고)를 형성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정신질환은 이 두 영역의 상호 견제가 균형을 잃었을 때 발생한다.
 
마시멜로이야기의 교훈
이를 바탕으로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마시멜로 이야기’를 해석하면 15분 동안 참았다가 마시멜로 하나를 더 받은 어린이는 쾌락의 중추를 잘 억제하는 전전두엽을 지닌 어린이다. 이 어린이는 마시멜로를 좋아하지만 더 많은 마시멜로를 얻기 위해서는 15분 동안 참아야 한다는 것을 전전두엽이 파악한 뒤 실제로 실천했다. 반면에 참지 못하고 곧바로 마시멜로를 먹은 어린이는 전전두엽이 쾌락의 중추를 억제하지 못하고 결국 쾌락의 중추가 이끄는 대로 행동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