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수평적 소통 주목받는 ‘소셜오디오’ 서비스

‘인싸 앱’ 클럽하우스, 어떻게 이용할까?

황지영 | 316호 (2021년 03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출시 1년이 채 안 된 소셜오디오 서비스 클럽하우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끄는 비결은 무엇일까. 첫째, 다양한 분야 사람들이 실시간 ‘목소리’만으로 소통하는 수평적 특성 덕에 강한 친밀감을 느낄 수 있다. 둘째, 이용자나 콘텐츠 크리에이터 입장에서 심리적 부담이 덜하다. 셋째, 초대만으로 들어갈 수 있다는 폐쇄성이 사람들의 포모(FOMO)를 일으킨다. 하지만 클럽하우스는 검색 기능이 약하고, 실시간 참여밖에 안 된다는 점, 정보 보안의 이슈 같은 한계도 가진다. 기업은 브랜드를 스토리텔링하는 공간으로 클럽하우스를 활용하면서 오디오 기반 소셜미디어의 부상에 대응해야겠다.



‘인싸’ 판단의 지표가 된 클럽하우스

요즘 클럽하우스(Clubhouse)라는 애플리케이션이 화제다. 초대를 받아야만 입장할 수 있다 보니 클럽하우스를 이용하는지가 소위 ‘인싸’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클럽하우스는 2020년 5월 비공개 베타 서비스로 시작된, 출시 1년이 채 안 된 소셜오디오 서비스다. 2020년 12월만 해도 사용자 수가 60만 명 선이었었는데 ‘라이온 킹’ 오디션을 진행하는 방이 주목을 끌면서 트위터를 중심으로 클럽하우스가 알려지는 모멘텀이 됐다. 이후 오프라 윈프리, 마크 저커버그, 일론 머스크, 브래드 피트 등 기업 CEO와 셀럽들이 가입하면서 인기가 폭발했다. 공식적으로 공개되진 않았지만 앱 트래커 ‘앱 애니’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260만, 전 세계적으로는 800만 회의 다운로드가 이뤄졌다.

한편 트위터 역시 2020년 12월17일, 자체 오디오 앱인 스페이시스(Spaces)의 베타 버전을 론칭했다. 트위터의 스페이시스는 트위터 유저들이 음성 기반 미팅룸(live conversation)을 만들고, 그 안에서 다른 이들의 대화를 듣거나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다. 페이스북도 클럽하우스와 비슷한 앱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알려졌다. 페이스북의 경우 룸즈(Rooms)라는 비디오 기능이 있는데 이와 차별화된, 클럽하우스와 비슷한 서비스를 론칭할 계획이다. 이렇게 단기간에 클럽하우스가 힙하디 힙한 앱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169

사람의 ‘목소리’만으로 이뤄지는 수평적 소통의 매력

클럽하우스의 가장 큰 특징은 세 가지다. 첫째, 사람들의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듣고 이야기를 나누는 특성 덕에 더 친밀감이 느껴지고 소셜(social)하게 느껴진다. 오디오 기반이다 보니 쉽게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대화를 들을 수 있다. 일반인이 오디오 DJ가 된 것처럼, 아이폰만 있으면 언제든지 원하면 불특정 다수와 함께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주제도 다양하다. 커리어 조언, 정보 공유, 성대모사, 심지어 24시간 스타벅스 매장 음악을 듣는 방도 있다.

둘째, 이용이 쉽고, 콘텐츠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도 부담이 덜하다. 클럽하우스 방은 스피커, 모더레이터(Moderator), 리스너(listener)의 세 유형의 참여자가 존재한다. 방을 개설하고 운영하는 사람은 모더레이터가 되는데 리스너로 참여한 사람이 ‘손들기’ 기능을 누르면 모더레이터가 스피커로 지정해줘 발언을 할 수 있게 한다. 리스너들도 마치 예전에 라디오가 한창 유행했을 때처럼 듣다가도, 무언가 하고 싶은 말이 있을 땐 쉽게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다른 매체나 서비스보다 훨씬 낮다. 운영자 입장에서도 프로필 사진이 있긴 하지만 얼굴이 직접 노출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화방을 운영할 수 있어 유튜브나 트위치 같은 라이브 방송보다 심리적 부담이 적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황지영[email protected]

    노스캐롤라이나대-그린스보로(UNC-Greensboro) 부교수

    황지영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그린스보로(UNC-Greensboro) 마케팅 전공 부교수는 미국 미디어 인터뷰, 미국소매협회(NRF)의 아시아 콘퍼런스 자문단(2024 NRF APAC Advisory Board)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삼성전자, LG전자, 신세계백화점, 이마트24, 기아자동차, 아모레퍼시픽, MBC라디오, EBS 등 다수의 기업과 미디어에 강연·자문·컨설팅 및 인터뷰를 진행해왔다. 17년간 유통 전문 월간지 리테일매거진에 칼럼을 기고해왔으며 DBR, 매경이코노미스트 등에도 칼럼을 기고해왔다. 저서로 『리테일의 미래』 『리:스토어』 『잘파가 온다』가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