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배터리 산업에서도 ESG 경영이 주목을 받으며 지속가능한 광물 채굴과 조달이 중요한 어젠다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리튬을 비롯해 코발트나 니켈 등 광물을 채굴하는 과정에서 환경 파괴와 인권 침해 등의 사회적 문제가 지적돼왔다. 기업들은 공급망 ESG 관리를 위해 분쟁의 자금줄이 되지 않고, 인권과 환경을 존중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방식으로 채굴된 ‘책임광물’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폐배터리를 재활용하면 새로 광물을 채굴해 배터리를 만들 때보다 탄소 배출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데다 안정적으로 핵심 원료 광물을 확보할 수 있다.
배터리 산업과 ESG
최근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이 앞다퉈 내놓는 보고서가 있다. 바로 ‘책임광물 보고서’다. 배터리의 원료가 되는 광물 구매 관리 현황을 정리한 것으로 책임광물은 분쟁의 자금줄이 되지 않고 인권과 환경을 보호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방식으로 채굴된 광물을 뜻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19년 10월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글로벌 책임광물 협의체인 ‘책임 있는 광물 조달 및 공급망 관리를 위한 연합(RMI)’에 가입하고 책임광물 보고서를 내왔다. 최근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르며 높은 관심을 받은 에코프로그룹도 올해 창사 후 처음으로 책임광물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에코프로그룹은 배터리 소재를 생산할 때 리튬, 코발트, 니켈 등을 사용하는데 공급망에 포함돼 있는 광산과 제련소 등에 대한 평가를 거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세 곳과의 거래를 중지하기도 했다.
이렇게 배터리 기업들이 앞다퉈 책임광물 보고서를 공개하는 것은 배터리 산업이 성장하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의 공급망 내 인권과 환경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한 유럽연합(EU)의 공급망 실사 규제도 영향을 미쳤다. EU는 올해부터 역내에 설립된 모든 기업의 공급망 내 인권 및 환경 실사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시행하고 있다. 배터리 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유럽 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은 저마다 EU의 공급망 실사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핵심광물 구입 단계부터 협력 업체와 하도급 업체 등 모든 공급망 가치사슬에 걸쳐 인권과 환경 문제를 관리하고 있다.
필자는 서울대 자원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금속회수연구실장, 도시광산실장, 광물자원연구본부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배터리재활용연구단의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2006년 환경부장관상에 이어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을 수상했으며 배터리 물질을 비롯한 자원 제조 및 재활용 분야의 전문가로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