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중국 강남 지역의 대운하는 중국 경제와 문화의 혈맥 역할을 했다. 대운하의 진면목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할 수 있는 운하 도시는 조선의 연행사에게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아무리 번화한 곳이라도 결국 쇠하는 때는 온다. 이때 과거의 번영과 영광에 집착하면서 변화하지 않으면 쇠락이라는 쓴잔을 마실 수밖에 없다. 19세기 초 해운의 시대가 열렸지만 청은 여전히 운하에 의존하다가 19세기 중반에서야 노선을 바꾼다. 그 결과 운하 도시는 물론 청 역시 쇠락을 맛봐야 했다.
길었던 코로나 팬데믹이 끝나고 해외여행이 다시 활성화하기 시작했다. 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해외로 떠나지 못했던 사람들의 억눌린 마음은 보복성 여행이라는 형태로 우리 앞에 나타났다. 지난 1분기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해외로 떠난 국제선 이용 여객 수가 지난해보다 10배 많은 1100만여 명에 달했을 정도다. 코로나의 진원지이자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추진하면서 상하이 폐쇄까지 선언했던 중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3월 비자 발급이 재개된 이후 여행 수요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 아직은 일본 여행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조만간 다양한 지형과 문화를 지닌 중국 관광 여행도 빠르게 회복될 것이다.
거의 매년 중국을 방문하던 필자도 2020년 코로나 이후 중국을 방문하지 못했다. 올해 3월에 산둥성 린칭(臨淸)에서 대운하를 주제로 열린 국제학회에 기조 강연자로 초청을 받았지만 비자 발급의 어려움 등으로 온라인 참여에 만족해야 했다. 가을에 상하이 푸단(復旦)대의 국제학회에 초청을 받아 방문할 예정인데 가게 되면 오랜만에 다시 보고 싶은 것이 바로 강남 운하다. 상하이까지 연결된 수로망을 따라 과거 명과 청 시대에 상업적으로 번성했던 각종 운하 도시들을 방문해 배도 타고 수향(水鄕) 도시의 문화를 즐길 생각을 하면 벌써 마음이 설렌다.
옛 조선의 선비들도 강남 운하 도시에 대한 방문을 갈망했다. 하지만 그들은 강남을 직접 방문할 수 없었다. 조선이 개창된 지 얼마 안 돼 명이 강남에 위치한 남경(南京)에서 북경(北京)으로 천도를 했기 때문이다. 수도 북경을 왕래하는 연행사들의 육로 외의 사적인 교류는 금지된 상태였다. 또한 명이나 조선 모두 사무역을 금지하고 정부 사절단에 의한 ‘조공 무역’만 허가하는 해금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인이 강남을 방문하는 방법은 사실상 우연한 표류(漂流) 외에는 없었다.
최부의 강남 표류와 운하 견문 기록 『표해록』
조선인들에게 강남은 직접 가볼 수 없는 상상적 공간이었다. 이에 조선 시대의 문학 작품에는 강남의 문화 지리적 심상이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백거이(白居易, 772~846)가 “강남은 좋더라(江南好)”고 노래한 것처럼 조선인들에게 강남은 아름다운 산수, 자연과 어우러진 문화적 공간, 화려한 세속적 유흥 문화까지 고루 갖춘 이상적인 공간으로 ‘상상’됐다.11박일용,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중국의 강남 체험과 강남 형상’, 『한국고전연구』 28, 2013.
닫기
필자는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의 방문 학자와 하버드-옌칭 연구소 방문 연구원을 거쳐 서울대 동양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 근세 시대에 대운하에서 활동했던 상인의 흥망성쇠 및 북경 수도론이 주된 연구 주제이고, 동아시아의 해양사와 대륙사를 겸비하는 한반도의 역사 관점을 세우는 데 관심이 있다. 저서로 『대운하 시대, 1415-1784: 중국은 왜 해양 진출을 ‘주저’했는가?』 『대운하와 중국 상인: 회양 지역 휘주 상인 성장사, 1415-1784』 『엘로우 퍼시픽: 다중적 근대성과 동아시아(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