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발전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그럼에도 많은 기업들은 친환경적인 노력이 경쟁력을 떨어뜨린다고 여긴다. 이런 노력은 비용만 키울 뿐 곧바로 돈을 벌어주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미국이나 유럽의 최고경영자(CEO)와 오랫동안 이야기를 하다 보면 이런 고충을 자주 듣게 된다.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고 지속 가능한 생산을 추구하면 개발도상국의 경쟁기업보다 불리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개도국 기업들은 친환경 압력에서 자유롭다. 공급업체들도 투명성이나 친환경적 투자에 연연하지 않는다. 지속 가능한 생산을 위해서는 새로운 장비와 프로세스가 필요한데, 이 투자는 결국 고스란히 제조업체의 몫이 된다. 불황기에는 소비자들마저 값비싼 친환경 제품을 쓰려고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할 목표가 아니라, 감당해야 할 사회적 의무로 받아들이는 기업 경영자가 많다.
지구를 살리기 위한 투쟁은 이미 정부와 기업, 기업과 소비자 단체, 심지어 소비자 단체와 정부 간의 한판 승부로 바뀌었다. 이 각축전은 이인삼각 경기를 닮았다. 자유로운 두 다리로 앞을 향해 나아가지만 묶인 두 발이 앞길을 막는다. 해결책은 뭘까? 정책 전문가와 환경 운동가들은 규제를 더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업계의 자율적인 참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강조한다. 소비자를 교육하고 조직화해 재계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도록 압박하자는 집단도 있다. 규제도 교육도 모두 필요하지만, 이 문제를 신속하고 완전하게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기업 경영진은 지속 가능한 제품과 프로세스 개발에 따른 사회적 편익과 비용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는 지난 수년간 30개 기업을 대상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활동을 조사했다. 그 결과 지속 가능성은 기업 운영과 기술 혁신의 모태가 되며, 궁극적으로는 수익 증대와 비용 절감을 통한 이윤 증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 친화적인 기업은 투입량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적 프로세스는 더 나은 제품을 생산하게 만들어 추가 수익이나 새로운 비즈니스 개척의 기회가 된다. 이는 기업 혁신의 최종 목표인 셈이다. 이 때문에 현명한 기업들은 지속 가능성을 혁신의 새로운 첨병으로 다루고 있다.
실제로 기업 경쟁력의 판도가 지속 가능성 추진 여부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지속 가능성은 제품, 기술,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기업들의 사고방식도 바꿔놓고 있다. 진보의 열쇠는 혁신이다. 특히 요즘과 같은 경제 위기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2000년 닷컴 버블의 위기에서 살아남은 인터넷 기업들이 기존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듯, 경기 침체 속에서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현재의 판도를 바꿔놓을 것이다.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시장을 선점한 경쟁업체들은 감히 따라갈 수 없는 경쟁력을 개발할 것이다. 지속 가능성이 발전의 필수 요건이 될 것이므로 이 같은 경쟁 우위가 해당 기업의 위상을 굳건하게 유지해줄 수 있다.
물론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 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나듯, 지속 가능성을 향해 항해를 시작한 기업은 다음과 같은 여러 단계의 여정을 거쳐야 한다. 단계마다 새로운 도전 과제가 기다리고 있다. 기업은 그때마다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내야 한다. 무슨 일이 일어날지 미리 알 수 있다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매우 중요하다. 시간은 지금도 째깍째깍 흐르고 있다.
1 단계 규제 준수를 사업 기회로 인식하라
지속 가능성을 향한 긴 여정의 첫 단계는 규제와 관련된 문제다. 법을 지키는 일은 간단하지 않다. 환경 규제는 국가, 주, 지역, 심지어 도시마다 제각각이다(200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는 슈퍼마켓 계산대에서 비닐봉지를 사용하는 걸 법으로 금지했다. 반면 샌디에이고에서는 여전히 비닐봉지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기업들은 법률적 규제 외에도 자율 규제 준수에 대한 부담도 느낀다. 온실가스 배출을 규제하는 기후변화협약처럼 보편적인 규제가 있는가 하면, 지난 20년에 걸쳐 비정부기구(NGO)나 산업계가 만든 삼림관리위원회 규정이나 전자제품 환경평가 시스템(EPEAT)처럼 특정 분야에 국한된 것도 있다. 이 같은 표준이 대부분의 개별 국가 법률보다 엄격하다. 특히 국가 간 무역에서 그렇다.
기업들은 최대한 덜 엄격한 환경 표준을 따르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에 앞서 규제를 준수하는 것이 현명하다. 혁신을 이끌어가는 선발 진입자의 우위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신차를 개발하는 데는 2, 3년이 걸린다. GM, 포드, 크라이슬러가 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CARB)의 연비와 배기가스 규제를 제도 도입 초기인 2002년부터 수용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이 규제를 충족한 자동차 모델을 경쟁기업보다 두세 번 정도 더 많이 내놨을 것이다. 이 기준이 미국 전역에 확대되는 2016년에는 한층 더 앞서나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