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쓰시마 정벌:때론 전투 없는 전쟁도 있다

임용한 | 50호 (2010년 2월 Issue 1)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까지는 왜구의 전성기였다. 고려, 중국, 대만, 멀리 필리핀과 말레이시아까지 왜구로 몸살을 앓았다. 왜구가 일본 해적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중국 상인, 밀수업자도 가세한 혼성 집단이었고, 중국 해적들이 왜구로 가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어쨌든 왜구는 왜구였다. 왜구의 근거지는 일본 남단의 큐슈(九州)와 쓰시마(對馬島) 같은 섬들이었다. 왜구는 개별 집단으로 움직이기도 하고, 여러 집단이 모여 연합 함대를 구성하기도 했다. 많을 때는 수백 척, 1∼3만의 대군을 형성하기도 했다. 아무래도 큰 수익을 내려면 내륙으로 진공해야 했는데, 그러자면 제대로 된 군대를 편성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1418년 왜구는 거사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역사상 최대 함대를 결성해서 중국 해안 지방을 약탈한다는 구상이었다. 그러나 세력을 모으고 배를 건조하다 보니 사업이 거창해졌고, 정보가 누설됐다. 왜구에 사로잡혔다가 탈출해온 한국인과 중국인, 기록에 명확히 드러나지는 않지만 현지에 심어놓은 정보원들이 큰 사건이 일어날 조짐을 보고해오기 시작했다.
 
조선은 대규모 왜구가 요동을 침공할 것 같다는 첩보를 중국에 전달했다. 그리고 평소 방침대로 해안 방어를 강화했다. 1419년 5월 1만 명이 넘는 왜구의 대선단이 요동을 향해 출발했다. 원래 목표가 요동 지방이었으므로 조선은 건드리지 않기로 했다. 그러나 일부 부대가 풍랑으로 낙오했다. 식량과 물이 떨어진 배들이 급수를 위해 상륙했다가 조선군에게 붙잡혔다. 일부 부대는 약속을 깨고 조선 해안을 습격했다.
 
보고를 받은 태종은 즉시 중신 회의를 소집하고 쓰시마 정벌 계획을 내놓았다. 왜구의 주력이 모두 출동한 이 참에 쓰시마를 공략하자는 것이었다. 신하들의 생각은 달랐다. 연안에 전함을 매복시켰다가 돌아가는 왜구를 요격하자고 했다. 그럴듯해 보이지만, 이 방안은 아무것도 하지 말자는 관료주의의 전형이었다. 왜선은 우리 배보다 빠르고, 원양 항해 능력이 좋아서 조선 함대를 쉽게 우회해나갈 수 있기 때문에 고장 난 배가 아닌 이상 포착이 불가능했다.
 
관료들의 태도에 분노한 태종은 강력하게 쓰시마 정벌안을 밀어붙였다. 전국에서 군사가 소집되었다. 마침내 1419년 6월 19 1만7000여 명의 병력과 65일치 식량을 실은 275척의 함대가 거제도를 출발했다.
 
쓰시마 원정 강행
쓰시마는 가지처럼 길쭉한 섬이다. 중간이 한입 베어 먹은 것처럼 움푹 패여 상도와 하도로 나뉜다. 상도와 하도는 마치 다리처럼 가는 한 줄의 지협으로 이어져 있다. 섬은 꽤 크지만 대부분이 산지이고, 경사가 가팔라서 평지가 거의 없다. 산과 산 사이에 약간의 평지가 발생한 곳에 읍이 세워졌는데, 지금도 읍이 6개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 마을은 거의 바닷가 산비탈에 턱받이처럼 땅을 깎아 집을 세웠는데, 집들이 1∼3줄 정도로 서 있다.
 
조선이 쓰시마를 공격 목표로 잡은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쓰시마 사람들이 다 해적은 아니었다. 어찌 보면 전 일본에서 친한파가 제일 많은 땅이 쓰시마였다. 쓰시마는 농사지을 땅이 거의 없어서 늘 곡물이 모자랐다. 무역이라도 하면 좋겠는데, 본국이 너무 멀었다. 쓰시마에서 한국까지 거리가 약 50km이고, 일본과의 거리는 150km이다. 그러니 쓰시마 사람들은 조선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해적들의 입장에서도 쓰시마는 꼭 필요했다. 옛날 배는 장기 항해가 힘들어서 중간 기착지가 꼭 필요했는데, 쓰시마에서 한국까지가 당시 배로 딱 반나절 내지는 하루 항해 거리였다. 그러니 모든 해적선들이 쓰시마를 거쳐 갔다.
 
조선은 쓰시마에 원조해주는 대가로 해적들의 단속을 요구했다. 하지만 잘 지켜지지 않았다. 해적 집단과 주민들과의 관계가 긴밀한 탓도 있었고, 단속할 의지가 있어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 해적들의 소굴로 알려진 아소만은 해안선이 솔잎처럼 갈라져 있어서 단속이 도저히 불가능했다. 그러나 이번처럼 대규모 침공은 쓰시마의 영주와 주민들의 협조와 묵인 없이는 불가능했다. 카리브 해의 해적 마을처럼 해안가에 해적촌도 생겼을 것이다. 그러니 우리를 침공하면 우리도 너희를 칠 수 있고, 조선의 곡물을 털어간 것보다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면서, 쓰시마 주민과 해적들의 고리를 끊을 필요가 있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임용한

    임용한[email protected]

    - (현) KJ인문경영연구원 대표
    - 한국역사고전연구소장
    - 『조선국왕 이야기』, 『전쟁의 역사』, 『조선전기 관리등용제도 연구』, 『조선전기 수령제와 지방통치』저술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