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민재형 교수의 의사결정 미학(美學) <4>

과잉 친절 ‘백기사’가 환영받지 못하는 이유?

민재형 | 56호 (2010년 5월 Issue 1)

개인이나 조직에서 의사결정만큼 신중하게 행해져야 하는 것도 없다.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의사결정보다 더 어려운, 그래서 더 가치 있는 일은 없다”고 말했다. 잘못된 결정은 조직으로 하여금 불필요한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의사결정은 한 번 일어나면 그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큰 비용을 치러야 한다. 의사결정이란 단순히 어떤 일을 하겠다는 정신적인 의지(mental commitment)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의지에 따라 실제로 자원을 돌이킬 수 없게 배분하는 것(irrevocable allocation of resources)이다.
 
하지만 경솔한 의사결정이 우리 주위에는 얼마나 많은가. 잘못된 결정으로 인해 반복되는 불필요한 피드백과 때늦은 수습에 조직의 한정된 역량을 낭비하기보다는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 번에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는 차분함과 정보 수집 능력이 현대 조직의 경영자에게는 필요하다. 이번 호에서는 경영자들이 일상 업무에서 무심코 빠지는 공정성, 윤리성, 지식 등 인식과 관련된 의사결정의 3가지 함정을 소개한다.
 
공정성 추구와 ‘백기사(白騎士)’의 함정
어떤 사람이 100만 원을 주면서 친구와 나눠 가지라고 한다. 내 친구는 내가 제안한 분배안을 받아들일 수도 있고, 이를 거절할 수도 있다. 만일 친구가 분배안을 받아들이면, 제안한 대로 돈을 나누어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분배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100만 원은 원래 주인에게 돌아가며, 나와 친구는 한 푼도 건질 수 없다. 나는 내 몫으로 99만 원, 친구에게는 1만 원을 분배하자고 제안했다. 당신이 내 친구라면 이러한 분배안을 받아들이겠는가?
 
전통적인 경제학의 기본 가정은 인간은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판단하고 행동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을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이라고 한다. 이는 인간이 이기적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실제로 인간은 자신이 얻는 것뿐 아니라 남이 얼마나 가져가는가에도 상당한 관심을 갖는다. 자신의 효용을 최대화하지 않고, 심지어 손해를 감수하는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이를 ‘제한된 이기심(bounded self-interest)’라고 한다.
 
제한된 이기심을 증명하기 위해 ‘최후 통첩 게임(ultimatum game)’이 많이 이용된다. 이 게임에는 갑과 을이라는 두 플레이어와 돈을 제공하는 제3자가 참여한다. 갑은 제3자가 기부한 돈을 분배하고, 을은 이러한 분배를 받아들일 것인지를 결정한다. 만일 을이 갑의 분배 제안을 받아들이면 양측은 갑이 제안한 대로 돈을 분배받고, 을이 갑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돈은 분배되지 않고 제3자에게 다시 돌아가게 되는 게임이다.
 
만일 인간이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려고 행동한다면, 갑이 을에게 얼마를 분배하든 그 분배 금액이 “0”이 아닌 이상 을은 그 제안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아무것도 얻지 못하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실험 결과에 의하면 갑이 을에게 분배하는 몫이 평균적으로 전체의 20%가 안 되면 을은 아무것도 얻지 못하더라도 그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는 경제적 인간이라는 전통적 경제학의 기본 가정과는 맞지 않는 일이나 실제로 사람들의 행태는 이러하다.
 
심지어 최후 통첩 게임에서 갑의 입장을 강화한 독재자 게임(dictator game)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벌어진다. 독재자 게임이란 갑이 분배하는 대로 을은 받아들여야 하는 게임이다. 즉, 100이라는 금액을 갑이 모두 갖고 을은 한 푼도 받지 못하는 분배라도 을은 승낙하여야 하는 게임이다. 이런 식이라면 갑이 모든 금액을 다 가질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이 게임에서도 갑은 자신이 전부 갖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이 모든 것을 가져도 되지만 상대방을 의식해 모두 다 갖지 않고 을에게도 일정 부분을 떼어준다.
 
독재자 게임에서 다른 플레이어(병)를 포함시켜 다음과 같은 게임을 진행시킬 수도 있다. 즉, 병은 갑이 돈을 배분하는 것을 보고, 그것이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면, 갑을 벌주기 위해 자신의 돈을 내놓게 된다. 그리고 갑은 병이 내놓은 돈의 3배만큼 자신의 몫에서 제하게 된다. 이때 병은 자신이 아무런 직접적 이득을 얻지 못하는데도 ‘갑의 배분 안이 불공정하다’고 느끼면, 자신의 돈을 지불하면서까지 갑을 벌주려 한다. 이를 ‘이타적 처벌(altruistic punishment)’이라고 한다. 한 실험 1 에 따르면 독재자 갑이 전체의 반이 안 되는 돈을 을에게 배분하고자 하면 관찰자인 병의 55% 정도는 갑을 처벌하는 행태를 보였다고 한다.
 
이처럼 사람은 자신의 이득에 전혀 도움이 안 되더라도 불공정한 상황이라고 생각하면 희생을 무릅쓰고 불공정한 상황을 초래한 주체를 벌하려는 행태를 보인다. ‘백기사(white knight)’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이타적 처벌은 공정성(fairness)이라는 사회적 규범을 유지하는 도구로서의 유용성도 보인다. 하지만 현명한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자신이 생각하기에 불공정한 것을 응징하려는 ‘욕망 자아(want-self)’와 꼭 그렇게 해야만 하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나 개인이나 우리 조직에게 이득이 되는 것일까 하는 ‘당위 자아(should-self)’ 사이의 절충을 시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백기사는 때때로 자신의 관점이 항상 옳고 표준이라는 자아 중심적인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자신이 도움을 준 상대방에게 자신에 대한 무조건적인 호의를 요구하고, 상대방을 자신의 뜻대로 좌지우지하려는 속성도 가진다.
 
타인을 구원하려는 고질적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자신이 도움을 준 상대방에 대한 믿음이 지나쳐 오히려 인간관계를 망치고 자신이 상처받는 ‘백기사 신드롬’의 재물이 되기도 한다. 이런 류의 ‘백기사’는 자신이 준 도움에 대한 확인, 칭찬, 신뢰, 보상 등을 받길 원하지만, 때로는 사회의 보편적 가치와 상반된 포지션과 행동을 취함으로써 자신을 속인다. 때론 ‘나는 왜 늘 베푸는데 상대방은 왜 내 마음 같지 않을까’ 하는 배신감도 느낀다. 결국 상대방과의 건전한 관계를 잃을 수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