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lose-Up

경제를 잘 알려면 지리 공부 먼저

한근태 | 320호 (2021년 05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지리는 경제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네덜란드는 라인강 하구에 위치했다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러시아로부터 원유를 들여와 가공한 후 독일, 벨기에, 프랑스 등으로 수출하는 유럽 석유 시장의 포문 역할을 한다. 철광석, 희소금속 등 자원이 풍부하거나 수력발전이 용이한 지형이 많아 전기 값이 저렴해 자원의 가공이 유리한 국가들 역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편집자주
한근태 한스컨설팅 대표가 비즈니스 리더 여러분들이 필독해야 할 서적을 엄선해 리뷰하면서 인사이트를 더해 소개하는 Close-Up 코너를 재연재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20


부동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뭘까? 입지다. 역세권인지, ‘슬세권’1 인지가 핵심이다. 위치에 따라 어떤 곳은 평당 1억 원을 넘고 어떤 곳은 평당 몇천 원밖에 나가지 않는다. 이렇게 부동산의 핵심은 첫째도 입지, 둘째도 입지, 셋째도 입지다. 그렇다면 국가는 어떨까? 국가의 흥망성쇠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건 무엇일까? 리더십, 역사, 국민성 등 다 영향이 있지만 지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그 나라가 어디에 위치했는지, 천연자원은 있는지, 바다를 끼고 있는지 혹은 내륙 지방인지, 주변에 어떤 나라가 위치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우리가 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경제는 지리다』를 소개한다.

지리는 무엇일까? 지리를 뜻하는 ‘geography’는 ‘지역’을 뜻하는 라틴어 ‘geo’와 ‘그리다’라는 뜻의 ‘graphia’의 합성어다. 글자 그대로 자연을 있는 그대로 그리는 것이 지리다. 지리는 지형이나 기후 같은 자연환경에 그치지 않는다. 농업, 공업, 무역, 교통, 인구, 종교, 언어, 촌락, 도시에 이르기까지 현재 시점에서 포착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수집, 분석해 그 지역만의 특징을 찾아내는 학문이 지리다. 경제 역시 지리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경제는 토지와 자원을 두고 벌이는 쟁탈전이다. 대한민국은 국토 면적이 좁고 자원도 부족한 나라다. 그렇다고 인구가 많은 것도 아니다. 인구가 많으면 내수 시장을 목표로 산업을 발달시킬 수 있지만 5000만 명이라는 인구로는 부족하다.

121


러시아와 네덜란드

러시아의 최대 수출국은 어딜까? 정답은 네덜란드다. 네덜란드 국민들의 평균 연봉은 5만 달러이지만 인구는 1692만 명밖에 되지 않는다. 시장이 크지 않은 네덜란드가 어떻게 러시아의 최대수출국이 될 수 있을까? 러시아 원유가 열쇠다. 러시아의 주요 수출 품목은 원유와 천연가스인데 이를 네덜란드로 보내 그곳에서 정제를 한 뒤 유럽에 수출한다. 네덜란드가 러시아 수출의 통로인 셈이다. 이유는 무엇일까? 지리적 여건이다. 네덜란드는 러시아와 유럽 사이 연결고리에 해당한다. 라인강 끝 지점이 로테르담인데 이곳이 유럽 시장의 현관 역할을 하는 유로포트이자 세계 최대의 석유화학 콤비나트가 있는 곳이다. 러시아에서 도착한 원유는 로테르담에서 석유화학 공업의 원재료가 된다. 네덜란드는 원유를 가공해 라인강을 이용, 독일로 수출한다. 네덜란드는 라인강 지류인 마스강 상류에 위치한 벨기에 및 프랑스 북동부와 마스-왈 운하(Mass-Waal canal)로 연결돼 있기 때문에 벨기에와 프랑스로도 수출이 가능하다. 네덜란드의 수출 상대국은 1위 독일, 2위 벨기에, 3위 영국, 4위가 프랑스다. 라인강 하구라는 지리적 조건이 네덜란드 경제 성장의 최대 요인이 됐다.

자원 대국은 목소리가 크다

지리의 요건 중 하나는 자원이다. 자원이라 하면 흔히 원유나 철광석 같은 것을 연상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21세기에 가장 중요한 자원은 무엇일까? 바로 물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7억 명 정도가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물 부족은 식량 부족으로 연결된다. 그렇기 때문에 물 이용을 둘러싼 분쟁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메콩강을 둘러싼 중국과 다른 동남아국가의 갈등이 그렇다. 나이지리아와 에티오피아는 물을 두고 전쟁까지 할 판이다. 개발도상국의 공업화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물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만 물 자체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그런데 수돗물을 그냥 마실 수 있는 나라는 어디일까? 다음 15개국뿐이다. 핀란드, 스웨덴,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아랍에미리트, 남아프리카공화국, 모잠비크, 호주, 뉴질랜드, 일본. 아쉽게도 한국은 빠져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사막 국가의 물 사정은 어떨까? 이 나라는 대수층에 있는 물을 이용해 농사를 짓고 식량까지 자급자족할 수 있었다. 그런데 20년간 대수층이 지속적으로 고갈되고 있고 곡물 생산량 또한 매년 감소하고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