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전쟁과 경영

마라톤 전투: 그들은 달렸을까 뛰었을까?

임용한 | 54호 (2010년 4월 Issue 1)


기원전 490년 마라톤 평원에서 치러진 그리스군과 페르시아군과의 전투는 세상에서 제일 과장된 전투인지도 모른다. 그리스군은 약 1만 명, 페르시아군은 1만 5000∼2만 5000명이었다고 보기도 하고 6000명 미만이었다는 설도 있다. 당시 세계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소규모 지역 분쟁에 불과했던 이 전투가 이처럼 중요해진 이유는 이것이 ‘서구’라는 승자의 역사에 속한 덕분이다.
 
페르시아 지휘관의 졸렬한 리더십
그리스군의 승리는 수백 년, 아니 수천 년간 수많은 연설의 소재가 됐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당시부터 2차 세계대전 때까지 민주주의자들은 마라톤 전투가 민주주의의 힘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그들은 이 전투를 독재 체제 또는 파시즘에 대한 민주주의의 승리, 타율적이며 경직된 인간으로 구성된 조직에 대한 자발적 시민 정신의 승리라고 믿었다.
 
그러나 이 전투의 승패를 가른 진정한 원인은 페르시아 지휘관의 졸렬한 리더십이었다. 그는 백병전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된 경무장 군대를 끌고, 승리를 위한 준비나 계획 없이 전투에 돌입했다. 당시 보병은 그리스군이, 기병은 페르시아군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이었다. 그래서 페르시아군은 기병이 유리한 평원에, 그리스군은 기병이 돌입할 수 없는 계곡 또는 산비탈에 각각 진을 쳤다. 이후 양쪽 군대는 대책 없이 대치를 계속했다. 대치가 계속되면 시간은 홈그라운드인 그리스 편이 된다. 페르시아군이 승기를 잡을 수 있는 길은 그리스군이 자발적으로 페르시아 기병이 기다리고 있는 평원에 뛰어들어와 주는 것뿐이었다. 하지만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그리스군에서 그럴 낌새가 보이지 않자, 페르시아 지휘관은 그리스 중장 보병대(호플라이트)와의 승부를 포기하고, 비무장 상태인 아테네를 공격해 거저먹는 방법을 택했다.
 
페르시아군은 아테네 공격을 위해 주력 부대를 빼돌렸다. 빈 도시를 공격하면서도 겁이 나서인지 기병까지 차출했다. 마라톤 평원에는 경무장 보병만 남았다. 그날 밤 수많은 페르시아군 탈영병들이 그리스 진지로 뛰어들어 “기병대가 떠났다”고 소리쳤다. 일반 사병들도 양군의 장단점을 명확히 알고 있었다는 증거다. 그리스 역사가는 이들이 페르시아군에 미리 심어놓은 그리스군의 스파이들이라고 했지만, 기병도 없이 그리스 중장 보병대 앞에 홀로 남겨진 경무장 보병 부대원들의 공포감과 배신감이 탈영병을 양산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
 
좀 더 인종주의적이거나 서구 문명에 굉장한 애착을 가진 사람들은 이 사건을 두고 ‘동양에 대한 서양의 승리’, ‘서양의 인종과 문명의 몰락을 막아낸 전투’라며 감동스러워했다. 그러나 페르시아가 승리했어도 페르시아는 이미 과도하게 팽창해 있던 상태여서 더 이상 영토 정복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아크로폴리스에 서 있는 파르테논 신전 모양이 조금 바뀌었을지는 모르겠다. 설령 그렇더라도 서양 문명은 몰락하기보다 더 발전했을 가능성이 높다. 파르테논 신전 자체가 결코 서양 세계의 순수한 혈통이 아닐 뿐더러 - 그런 혈통은 존재하지도 않는다 - 우리가 알고 있는 빛나는 문명은 고립보다는 교류와 혼혈을 통해서 더 크게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중장 보병 운용 전술의 혁신
이 전투에서 건질 수 있는 진정한 교훈은 이런 거창한 결론이 아니라 사실적이고 세부적인 부분에 있다. 일단 그리스군의 지휘관 밀키아데스의 창의적 태도는 정말 칭찬할 만하다. 그는 중장 보병대의 불문율인 ‘반드시 밀집 대형을 유지하고 대형과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천천히 전진한다’는 원칙을 과감히 깨트렸다. 페르시아군 진영에 맞추기 위해 보병 간격을 넓혔고, 마라톤 평원에 조금 남아 있던 페르시아 기병의 돌격과 화살 공격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그리스 중장 보병들로 하여금 1500미터 거리를 달리게 했다. 이 창조적 변형은 대성공을 거뒀다. 페르시아 기병과 궁수는 넋이 나갔다. 중무장한 그리스 보병은 굳이 밀집 대형으로 부딪히지 않아도 나무 방패를 들고, 몸에 쇳조각이라고는 걸치지 않은 페르시아 보병을 압도할 수 있었다.
 
그런데 바로 이 내용을 두고 군사사 연구자들 사이에 대단한 논쟁이 발생했다. 그리스 중장 보병의 청동 갑옷과 방패는 20킬로그램이 넘는다. 팔다리가 움직이기 편하게 몸에 잘 맞는 디자인도 아니었다. 마치 금속 조각들이 머리, 몸통, 손과 정강이에 더덕더덕 붙어 있는 형태였다. 이런 상태로 1500미터를 단숨에 뛰어 백병전을 벌인다는 것이 가능할까? 옛날의 백병전은 절반이 체력전이다. 1.5킬로미터는 맨몸으로 조깅을 해도 온몸이 땀에 젖고 호흡 곤란을 느끼기에 충분한 거리이다.
 
그래서 어떤 학자들은 그리스군이 이 거리를 단숨에 내달리지 않고 중간에 쉬면서 호흡을 조절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혹은 조깅하듯이 천천히 뛰다가 마지막에 스퍼트를 했다고 보기도 한다. 물론 둘을 섞을 수도 있다. 호흡 고르기 효과는 역사에도 남아 있다. 로마군의 전투 기록을 보면, 쉽게 흥분하는 신병들은 적을 향해 가는 도중에 벌써 혈압과 호흡이 최고치로 올라가버린다. 그러나 노련한 고참병들은 적과 부딪히기 전에 침착하게 거리를 측정하고 충돌 전에 호흡을 가다듬는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도 단거리를 걸어서 또는 아주 짧은 거리를 달려 부딪칠 때 이야기다. 1500미터를 이런 방법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뛰다가 쉬면 더 빨리 지칠 수도 있다. 한마디로 쉬었다가 달리기라는 것은 황당무계한 자멸의 지름길이다. 경험 없는 군대가 적을 향해 과도하게 흥분해서 만세를 부르며 무모하게 돌격하다가 커다란 피해를 입었던 사례는 전쟁사에 무수히 많이 등장한다. 게다가 밀집 부대가 달리는 것은 개인이 달리는 것보다 더욱 어렵다.

가입하면 무료

  • 임용한

    임용한[email protected]

    - (현) KJ인문경영연구원 대표
    - 한국역사고전연구소장
    - 『조선국왕 이야기』, 『전쟁의 역사』, 『조선전기 관리등용제도 연구』, 『조선전기 수령제와 지방통치』저술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