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를 위한 시(詩)적 상상력
Article at a Glance - 인문학 자신만의 생각을 하지 못하는 이유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은 ‘마음 → 생각 → 현상’의 순서를 따라 일어남. 문제는 정해진 답변을 강요하는 교육으로 인해 자신만의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되고 남이 심어준 생각만 하는 경우가 많음. 자신만의 생각을 할 수 있는 방법 시인들의 창작법인 ‘일체화’를 통해 ‘현상 → 생각 → 마음’의 순서로 거꾸로 돌아가야 함. 즉 자신이 쓰고자 하는 시적 대상의 마음을 자기의식대로 상상해내도록 노력 대화가 되지 않는 상대와 소통하려면 남을 바꾸기보다 나를 바꾸는 것이 더 쉬움. 나 스스로를 알아차려 내가 바뀌면 다른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고, 그로 인해 소통이 가능해짐
편집자주
시(詩)는 기업 경영과 별로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는 뻔히 보여도 보지 못하는, 혹은 사람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알려주는 지혜와 통찰의 보고(寶庫)입니다. 현대 경영자에게 무한한 창조적 영감을 주는 시적 상상력의 원천을 소개합니다.
시는 마음을 읽는 것이다. 그것이 사물이든 자연이든 시를 쓰고자 하는 대상, 즉 시적 대상의 마음을 읽고 드러내는 일이다. 시인들은 일체화라는 방법을 통해 마음을 읽는다. 하지만 일체화는 시적 대상의 마음을 읽는 방법으로만 활용되는 게 아니다. 나를 변화시키고 소통을 이루는 매우 중요한 방법이 되기도 한다.
일체화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시인이 시적 대상으로 가서 하나가 되는 일체화 방식이 있는가 하면, 시인이 시적 대상을 나에게로 끌고 와서 하나가 되는 방식이 있다. 전자가 창조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활용된다면, 후자는 나를 변화시키고 소통을 이루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우선 마음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어원을 통해 다시금 들여다보자. 마음의 고어는 ‘마삼’이다. 이 단어가 ‘마슴’으로 변했다가 지금의 ‘마음’이 됐다. 즉 ‘마삼→마슴→마음’의 순서로 단어가 변한 것이다.
마는 마디, 마당 등으로 쓸 때처럼 어떤 공간을 의미한다. 삼과 슴은 생각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면 마음은 ‘생각 공간’이라는 뜻이다. 즉 우리의 생각이 담겨 있는 공간이 바로 마음이라는 얘기다.
마음은 밭, 생각은 씨앗, 현상은 드러남
더 쉽게 설명하자면 마음이 밭이라는 공간이라면 생각은 씨앗이다. 따라서 어떤 씨앗을 심느냐에 따라서 마음의 밭에 피어나는 것이 달라진다. 피어나는 것은 드러남, 즉 현상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보는 모든 것은 현상인 셈이다. 밭이 있고 그 밭에 씨앗을 뿌리고 가꿔야 식물이 나오듯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은 ‘마음(밭)→생각(씨앗)→현상(식물)’의 순서를 따라 일어난다.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해야 할 게 있다. 씨앗에 대한 설명이다. 씨앗은 생각이다. 생각은 대부분 의식으로 만들어진다. 의식은 ‘자신이나 사물에 대한 인식작용’이다. 어떤 대상을 인식하려면 앎이 필요하다. 책을 인식하려면 책이라는 단어와 의미를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책을 봐도 책이라고 인식할 수가 없다. 인식하지 못하면 의식할 수 없다.
인식작용은 교육에 의해 이뤄진다. 사람은 교육을 받는다. 하다못해 어린 아기에게 “아가야, 거기 가면 안 된다. 이리와”라고 어머니가 말하는 것조차 모두가 교육이다. 이 교육이 의식을 만드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한다.
문제는 우리의 교육이 정해진 답을 강요한다는 데 있다. 사람들은 모든 인식작용을 교육받은 대로만 하게 된다. 정해진 답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고 설명하려 하니 그만큼 자기의식으로 판단하는 힘이 약화된다. 교육에 의해 남이 심어준 생각만 하게 될 뿐 자기만의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