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Journal Watch

태엽시계 등 레거시기술 살아남은 비결은 外

류주한,한진영,주재우,이종균 | 251호 (2018년 6월 Issue 2)
Strategy

태엽시계 등 레거시기술 살아남은 비결은

Based on “Technology reemergence: Creating new value for old technologies in Swiss mechanical watchmaking, 1970-2008” by Ryan Raffaelli i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018, pp.1-43 (Forthcoming).

20


무엇을, 왜 연구했나?
기술 혁신이 가속되면서 하루가 다르게 신기술, 더 나은 기능으로 무장한 신상품이 등장한다. 기술 수명 주기도 짧아지고 기술 간 연속성도 사라지고 있다.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VHS 비디오, 카세트테이프, 다이얼모뎀 등도 당시에는 첨단 혁신 제품들이었다. 슘페터가 주장한 창조적 파괴는 늘 새로운 혁신의 신세계로 우리를 안내한다. 그러나 기술이 혁신에 혁신을 거듭해도 사람들에게 수 세기 동안 변함없는 사랑을 받아온 레거시 기술들이 있다.1

돛을 달아 움직이는 작은 범선, 만년필, 클래식 자동차, 비닐(LP레코드) 등이 그것이다. 우리는 신기술, 혁신,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이 레거시 기술들이 사라지지 않고 수십 년에 걸쳐 우리 곁을 지키고 있는 이유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

하버드경영대학원의 라파엘리 교수는 지난 수십 년간 세계인으로부터 사랑받아온 스위스 기계식 손목시계가 최근 부활하며 시장을 확대해가고 있는 배경에 주목했다. 기계식 시계는 낡은 기술이다. 무겁고 매번 태엽을 감아줘야 하며 가격은 비싸나 정확도가 떨어져 실용적이지 못하다. 시계 기술은 지난 십수 년간 크게 발전했다. 배터리로 움직여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는, 편하고 정확한 쿼츠시계가 1970년대에 등장했고 스스로 움직여 감성을 자극하는 오토매틱 시계, 기술과 유행을 그대로 반영한 전자시계도 등장했다. 최근에는 컴퓨터, 휴대폰 등 시간을 표시하는 전자기기도 많이 등장했고 인체와 교감하며 생체리듬을 관리해주는 스마트워치까지 나왔다. 라파엘리 교수는 거센 시계 기술의 발전과 혁신에도 불구하고 낡은 기계식 시계가 레거시 기술로서 살아남은 이유가 무엇인지 파헤쳤다.

무엇을 발견했나?
라파엘리 교수는 1970년부터 2008년까지 스위스 시계산업의 성장과 쇠퇴, 그리고 재등장하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레거시 기술의 요건이 무엇인지 살펴봤다. 136명의 관련 전문가, 제조업체, 판매자, 컬렉터 등을 심층 면담했으며 시계 전문 잡지, 광고 등을 통해 시대별 기술과 트렌드의 변화를 파악했다. 분석 결과 스위스 기계식 시계가 1970∼1980년대의 성장기, 1980∼1990년대의 쇠퇴기, 2000년대의 재도약기를 거치며 낡은 기술이 레거시 기술로 부활 가능했던 이유를 크게 3가지로 설명했다.

먼저 관련 업체들은 기술 혁신을 견지하면서도 한편으론 기계식 시계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고 이를 수용할 잠재시장을 세분화해 확대하는 데 주력했다. 또한 기계식 시계가 단지 시간을 알려주는 상품을 넘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예술적 경지의 가치를 갖고 있음을 끊임없이 대중들에게 어필하며 인식을 전환하는 데 공을 들였다. 이를 통해 쿼츠시계, 첨단 시계, 그리고 일본, 미국의 혁신 시계업체와 힘들게 겨뤄야 했던 경쟁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 동시에 기계식 시계 업체들 간의 경쟁을 촉발했다. 산업 내 경쟁력을 강화하고, 일관되고 엄격한 방식으로 그들만의 리그를 관리해 나갔다. ‘Swiss Made’ 시계는 성능 좋은 플라스틱 디지털 시계와 차별화된 제품임을 인식시킴으로써 레거시 기술로 자리매김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류주한

    류주한[email protected]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 유치, 해외 직접투자 실무 및 IR, 정책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국내외 학술 저널 등에 기술 벤처, 해외 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비시장 전략, PMI, 그린 공급망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한진영[email protected]

    -중앙대 창의ICT공과대 교수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주재우

    주재우[email protected]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공감에 기반한 디자인싱킹(Design Thinking)과 직관을 위배하는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을 활용해 고객 경험(Customer eXperience)을 설계한다. 현재 국민대 경영대학과 테크노디자인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마케팅과 경험 디자인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에서 인문학 학사와 경영학 석사를 받았고 토론토대에서 마케팅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이종균[email protected]

    제임스메디슨대 경영학과 부교수

    필자는 미국 위스콘신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MBA를, 미국 시러큐스대에서 박사(창업학)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한국, 미국, 몽골, 키르키스스탄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경영 자문 및 여러 국가의 창업 진흥을 위한 정책 수립 자문을 수행했다. 한편 북한 탈주민 대상 창업 지원 프로그램의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창업 정책 및 환경, 사회적 기업형 창업 및 상호 참여형 창업이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