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탄소년단은 큰 성공을 거둔 후 자아의 분열을 경험했다. 월드 스타로 떠오른 후 그들에 대한 팬들의 기대는 갈수록 높아졌고, 그 기대는 쉽게 떨쳐버릴 수 없는 심적인 부담으로 작용했다. ‘영혼의 지도: 페르소나’에는 이러한 고민과 갈등이 담겨 있다. 그리고 그들이 이 갈등과 고민을 어떻게 해결해나가고 있는지에 대한 성찰과 해법도 담겨 있다. 방탄소년단은 자아에 대한 성찰을 통해 자신의 내면 속 그림자와 싸워서 이기는 방법을 깨우쳤다. 그림자에서 도망치려고 하지 않고 그림자에 담겨 있는 선악의 양면을 모두 응시하고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였다.
데카르트는 코기토(cogito, 라틴어로 ‘나는 생각한다’)를 인간의 원점이라고 봤다. 세상 모든 것을 의심한다 해도 의식의 주체인 ‘나’라는 존재만큼은 의심할 수 없다고 믿었다. 프로이트는 이 믿음을 뒤집었다. 의식을 조종하는 더 깊은 심연의 힘이 있으므로 의식이 원점이라는 가정은 성립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형체가 없고 의식할 수도 없지만 무시무시한 힘을 가진 이 실체를 프로이트는 무의식이라고 칭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원천을 성적인 욕망이라고 단정했다. 인간의 정신은 이 욕망을 가두는 지하 감옥이며, 문명은 이 욕망을 억압한 대가로 주어지는 선물이다.
그렇다고 인간이 이 욕망을 언제나 성공적으로 가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욕망은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다가 의식의 경계가 느슨해지면 그 틈을 비집고 튀어나온다. 수면 상태에서 이 욕망이 튀어나오면 꿈이 되고, 깨어 있는 상태에서 튀어나오면 신경증이 된다. 그런데 이 욕망은 자신의 민낯을 드러내지 않는다. 언제나 가면을 쓴 채 등장한다. 무의식은 위장술로 의식의 눈을 따돌리고 자신의 욕망을 실현한다.
필자는 서울대 사회교육학과와 동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중앙대에서 정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승강기대 총장과 한서대 대우 교수, 중부대 초빙 교수 등을 지냈다. 동서양의 고전을 현대적 감각과 트렌드에 맞게 재해석하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에 『다시, 논어』 『욕심이 차오를 때 노자를 만나다』 『존재의 제자리 찾기; 청춘을 위한 현상학 강의』 『그리스, 인문학의 옴파로스』 『주역으로 조선왕조실록을 읽다』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