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화폐 위조범과 모방의 기술

김정수 | 40호 (2009년 9월 Issue 1)
제목만 보면 그동안 흔히 보아왔던 ‘돈 버는 기술’에 대한 책(재테크 서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 책은 아트 윌리엄스라는 ‘걸출한’ 화폐 위조범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로, 문자 그대로 ‘돈을 만드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윌리엄스는 겨우 30세가 될 때까지 무려 1000만 달러(약 120억 원) 상당의 위조지폐를 만들어 유통시킨 혐의로 2001년 체포됐다. 저자인 제이슨 커스턴은 음악 전문 잡지 <롤링 스톤(Rolling Stone)>에 윌리엄스의 화폐 위조 노하우는 물론, 시카고 빈민가에서 시작된 인생 역정과 가족사에 대한 기사를 써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후 기사를 바탕으로 책을 펴냈다.
 

독일, 영국 경제 타격 주려 위폐 제조
어느 나라에서나 화폐 위조는 다른 사람의 신체에 상해를 가하지 않는 범죄 가운데 가장 엄하게 다뤄진다. 국가 경제 시스템의 근간을 파괴해 엄청난 사회, 경제적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이 영국 경제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기 위해 선택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도 대규모의 위조지폐 유통이었다. 독일은 ‘베른하르트 작전’으로 불린 이 계획을 통해 당시로서는 천문학적 금액인 1억3000만 파운드(약 2600억 원)의 위조지폐를 만들었다(2008년 국내 개봉한 영화 <카운터페이터>가 관련 내용을 다뤘다).
 
미국도 남북전쟁의 와중에 위조지폐 때문에 큰 피해를 봤다. 당시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절반 정도가 가짜여서 정상적인 경제 활동이 불가능할 지경이었다. 링컨 대통령은 자신이 암살당한 당일, 위조지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방기관 창설을 최우선 과제로 지시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만들어진 기관이 바로 비밀수사국(US Secret Service)이다. 현재 약 6500명의 직원을 거느리고 있는 비밀수사국은 연방수사국(FBI)과 중앙정보국(CIA)으로 많은 업무를 이관한 이후 단 2가지 일만을 수행하고 있다. 그중 하나는 대통령 경호이며, 다른 하나가 위조지폐 단속이다. 그만큼 위조지폐 단속은 아직도 미국 정부의 가장 중요한 업무로 여겨진다. 미국 정부는 철저한 단속 노력과 함께 1996년 최첨단 위조 방지 기능을 적용해 새로운 지폐를 발행했다. 화폐 위조는 이와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했다.
 

 
자동차에서 위폐 만들 실마리 얻어
하지만 좋은 방패가 나오면 그것을 공략할 수 있는 창이 나오게 마련이다. 아트 윌리엄스는 정부의 노력을 무력화할 방법을 하나 둘씩 찾아냈다. 그 과정은 천재적이며 끈질긴 노력 그 자체였다.
 
윌스엄스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드라이마크 펜’이었다. 미국에서는 고객이 100달러짜리 지폐를 내면 점원이 굵은 사인펜을 꺼내 돈 위에 선을 그어보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 굵은 사인펜이 바로 위조지폐를 판별하는 가장 위력적인 수단인 드라이마크 펜이다. 드라이마크 펜에 들어 있는 용액은 종이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전분(starch)과 반응하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하지만 미국의 지폐를 만드는 종이에는 전분이 사용되지 않아 색이 변하지 않는다.
 
윌리엄스는 색이 변하지 않는 종이를 찾기 위해 신문지에서 화장실 휴지까지 눈에 보이는 모든 종이에 펜을 그어댔다. 그러던 중 찾아낸 것이 바로 전화번호부였다. 신기하게도 전화번호부 종이, 그중에서도 아비티비라는 회사가 만든 종이만은 색이 변하지 않았다.
 
그 다음 문제는 ‘광가변성 잉크(Opti-cally Variable Ink·OVI)’였다. 지폐를 서서히 옆으로 돌리면서 보면 오른쪽 아래 숫자의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광가변성 잉크를 이용한 첨단 위조 방지 기능이다. 문제를 풀지 못한 아트가 낙심해 주차장을 걸어가고 있을 때, 1996년형 포드 ‘머스탱’이 그의 눈길을 끌었다. 차의 색상이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였기 때문이다.
 
윌리엄스는 즉시 자동차 수리점으로 달려갔고, 머스탱의 페인트를 만드는 회사가 미국 조폐공사에 OVI를 납품하는 ‘플렉스 프로덕트’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바로 그 페인트를 한 통 사서 미국 지폐의 글씨체로 ‘100’이라는 숫자의 고무도장을 만들어 찍어보니 대성공이었다.
 
가장 힘든 장애물은 ‘워터마크’였다. 워터마크란 지폐를 들어 불에 비춰보면 어렴풋이 보이는 인물(벤저민 프랭클린)의 초상을 말한다. 이 작업은 불가능에 가까워 보였다.
 

 
해결 방법이 하나 있기는 했지만 ‘원가’가 너무 올라갔다. 5달러짜리 지폐를 탈색한 후 100달러짜리로 다시 인쇄하는 것인데, 윌리엄스는 100달러당 5달러의 ‘원가’가 너무 아까웠다. 종이를 물에 불려 반으로 가른 틈에 프랭클린의 초상을 넣은 후 오븐에 구워보기도 했지만 진짜 돈과는 너무 거리가 멀었다. 윌리엄스는 실망한 채 잠자리에 든 어느 날 꿈에서 해결책을 찾았다. 얇은 트레이싱지에 프랭클린의 초상을 인쇄한 후 아비티비의 종이 두 장을 양쪽에서 덮어 접착제로 붙이는 방법이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