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전쟁과 경영

천재의 삶은 왜 비극적일까

임용한 | 19호 (2008년 10월 Issue 2)
카이사르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기원전 58∼51년의 8년 동안 수행한 갈리아 원정이다. 갈리아는 지금의 프랑스와 스페인 국경에서 라인강까지 대체로 프랑스, 스위스, 벨기에, 네델란드, 룩셈부르크 일대를 아우르는 지역이다. 갈리아 원정은 서유럽 전역과 이탈리아 간의 전쟁이었다. 더욱이 갈리아 원정 내내 카이사르가 거느린 병력은 겨우 4만∼8만 명이었다. 갈리아에서 유력한 1개 부족의 군대보다 적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이사르가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로마군의 우수성과 문명의 힘, 카이사르의 탁월한 지도력, 부족 단위로 살아가는 갈리아의 분열 덕분이었다. 예를 들어 로마군의 공성구(성이나 요새를 공격하는 데 쓰는 기구)와 축성술은 갈리아인에게 전혀 새로운 것이었다. 또 갈리아인에게 20일은 족히 걸릴 다리 건설을 로마군은 단 하루 만에 해치우고 도강하기도 했다.
 
갈리아에서도 부족을 통합해 강력한 국가를 이루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쉽지 않았다. 갈리아 부족들은 언어와 문화가 달랐으며, 통치방식도 거칠고 투박했다. 자유롭게 살아온 족장과 귀족들은 자신이 왕이 되는 것은 괜찮지만, 다른 사람의 신하가 되는 것은 견딜 수가 없었다.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35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10만 명도 안 되는 로마군에게 지배당한다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사실이었다. 게다가 갈리아 전사들은 이탈리아인보다 머리 하나는 더 컸다. 그래서 갈리아인들은 해마다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번번이 로마군에게 패했다.
 
통합 국가를 원한 갈리아의 영웅
기원전 53년 카이사르는 갈리아를 거의 평정했다고 생각했다. 그때 지금의 프랑스 중부 지역에 거주하던 아르베니아족에서 베르킨게토릭스라는 젊은 영웅이 나타났다. 그는 족장으로서 친로마 정책을 유지하던 숙부를 제거하고 족장이 된 뒤 전 갈리아 부족을 반란에 동참시켰다. 이것은 놀라운 사건이었다. 지난 7년 동안 갈리아는 로마에 저항해 왔지만 단 한 번도 전체 갈리아가 합심해서 들고 일어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사실 오늘날까지도 이 국가들이 하나로 뭉친 적은 한 번도 없다) 놀랍게도 베르킨게토릭스가 그 일을 해낸 것이다.
 
그런데 베르킨게토릭스가 평범한 지도자였다면 갈리아 전사가 총궐기했다는 사실만으로도 과거의 분열, 즉 패배의 핵심 요인을 극복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베르킨게토릭스가 원한 통합 갈리아는 물리적 연합이 아니었다. 지난 전쟁이 준 교훈은 분열이 패배를 부른다는 통상적 진리가 아니었다. 부족의 전쟁 방식으로는 제국 군대를 이길 수 없었다. 그래서 그는 소집에 응한 갈리아 연합군에게 질적인 변화도 요구했다. 통합 갈리아는 국가가 되어야 했고, 당장 국가 방식으로 전쟁을 치러야 했다. 바로 이런 점에서 (카이사르도 칭송했듯이) 그는 모든 갈리아인 가운데 가장 뛰어난 이였다. 

 

 

그러나 선각자의 깨달음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숙성의 과정이 필요했다. 제국 군대로서 전쟁을 치르기 위해 베르킨게토릭스는 세 가지 벽을 넘어야 했다. 부족의 통합, 전술, 훈련의 벽이었다. 먼저 통합 부분을 보면 전체 갈리아가 궐기했다고는 하지만 다 그런 것은 아니었다. 그 가운데 몇몇은 갈리아에서 가장 강한 부족들이었다. 베르킨게토릭스는 군대를 둘로 나누었다. 한 부대는 로마의 속주인 지금의 남프랑스 지방을 공격해 로마군을 그곳에 묶어두게 했다. 그 사이에 자신은 소극적인 부족을 공격해서 그들을 참여시키기로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적장 카이사르는 로마 역사상 가장 뛰어난 지휘관이었다. 카이사르는 신속한 기동으로 단번에 이 작전을 무산시켰다. 그러나 베르킨게토릭스도 성과를 냈다. 갈리아 최대 부족이며 로마의 충실한 지원자이던 하이두이족을 반란에 끌어들인 것이다. 하이두이족은 최대의 식량 조달처일 뿐 아니라 기병이 없는 로마군의 기병 공급원이었다. 하이두족이 반란에 가담하자 카이사르의 기병은 게르만 용병 약 400명밖에 남지 않았으며, 식량 지원도 끊겼다.
 
실패한 청야전술
그러나 갈리아 연합군은 여전히 부족연합군에 불과했다. 이들을 제국 군대로 훈련시키려면 시간이 필요했다. 그래서 베르킨게토릭스는 제국 군대식 전투 대신 제국의 전술을 쓰기로 했다. 그것은 ‘청야전술(淸野戰術·주변에 적이 사용할만한 모든 군수물자와 식량 등을 없애 적군을 지치게 만드는 전술)’이었다.
 
그는 로마군의 식량 공급을 차단하고 로마군 주변의 모든 도시를 불태웠다. 로마군은 애초에 15일분의 식량만 휴대하고 나왔다. 할 수 없이 로마군은 식량을 찾아 널리 흩어져야 했으며, 이 틈을 이용해 갈리아 기병은 병력이 분산된 로마군을 기습했다. 로마군은 여러 부대를 한꺼번에 내보내 적을 교란하거나, 부대 출동시간을 변경하는 등 여러 방법을 써보았지만 목적지와 동선이 뻔한 데다 상대는 재빠른 기병이어서 기습을 피할 수 없었다. 로마군은 위기에 빠졌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기에서 피해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막대한 피해를 보았다고 서술했다.

 

가입하면 무료

  • 임용한

    임용한[email protected]

    - (현) KJ인문경영연구원 대표
    - 한국역사고전연구소장
    - 『조선국왕 이야기』, 『전쟁의 역사』, 『조선전기 관리등용제도 연구』, 『조선전기 수령제와 지방통치』저술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