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at a Glance
명종이 “국가의 인재인 선비를 융성하게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라고 묻는 말에 문인 양사언은 중국 황제의 고사를 예로 들어 인재를 극진히 대우하고 인재가 거침없이 자기 뜻을 밝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임금이 첫째, 원칙으로 인재를 이끌어야 하며, 둘째, 자신의 좋고 싫음을 아랫사람에게 내보여서는 안 되며, 셋째, 엄한 스승의 직언을 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오늘날 인재를 모으고자 하는 리더들이 곱씹어볼 만한 대목이다.
1546년, 이제 막 보위에 오른 명종은 전시(殿試)에서 이런 문제를 냈다. “선비의 기상은 나라의 근본 바탕이다. 선비가 융성한가, 쇠약한가에 따라서 국가의 흥망이 결정된다. … 우리나라는 선비의 기강을 중시하고 선비의 절개를 격려함으로써 그들의 기상을 배양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선비가 나약하고 구차스러워짐이 요즘보다 더 심한 때가 없다. 예의가 행해지지 않고, 염치가 없으며, 기개와 절개가 땅에 떨어지고 굽실대는 것이 풍조를 이뤘다. 선비가 이러하니 대체 나라는 누구를 의지해야 하겠는가?”
1
선비는 재야에서는 비판적 지식인으로, 출사해서는 관료이자 정치가로 활동한다. 국가 경영의 주축이 되는 인적 자원이라 할 수 있다. 옛말에 “나무가 서 있어도 말라 죽지 않는 것은 그 뿌리가 땅속 깊이 내려 있기 때문이고, 물이 흘러도 마르지 않는 것은 그것이 수원(水源)에서 솟아나기 때문이다”라고 했는데, 나라의 뿌리를 깊게 내리고, 나라의 인재가 마르지 않게 만들어주는 존재가 바로 선비다. 그런데 이처럼 중요한 선비의 수준이 크게 낮아지고 있으니 나라의 앞날이 걱정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훗날 문인이자 서예가로 명성을 날린 양사언(楊士彦, 1517∼1584)
2
은 이렇게 답했다. “선비가 융성할 때는 사특한 것이 정의를 어지럽히지 못하고 그른 것이 올바른 것을 흐리게 하지 못하니 소인의 도가 소멸하고 군자의 도가 성대해질 것입니다.” 당연한 말이다. 나라의 핵심 인재가 건강하면 자연히 그 나라도 건강하다. 인재가 능력에 더해 올바름을 추구하고 반성할 줄 알며 지혜와 기개가 있다면, 부정이나 불의는 자리하지 못할 것이다. 설령 잘못을 해도 이내 바로잡아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