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Behavioral Economics

금융 서비스 혁신의 엔진 된 AI-블록체인

곽승욱 | 415호 (2025년 4월 Issue 2)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and Blockchain in Financial and Banking Services: A Comprehensive Review”(2024) by M. Paramesha, N. Rane, and J. Rane in Partners Universal Multidisciplinary Research Journal, 1: 68-83.



GettyImages-2199396458


무엇을, 왜 연구했나?

금융 서비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 운영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해 왔다. 하지만 금융 데이터의 기하급수적 증가와 급속한 기술 혁신은 기존 서비스 운영 방식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고 복잡한 금융 환경에서 요구되는 신속성과 정밀성을 충족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의 탄생을 예고했다. 금융 서비스는 투자 관리, 리스크 평가, 규제 준수 등에서 첨단 기술의 도입이 절실하다. 사기 탐지, 신용 평가, 맞춤형 고객 지원과 같은 분야에서도 더욱 정교하고 정확한 솔루션이 필요하다. 금융기관이 단순한 기능적 개선을 넘어 근본적인 혁신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 AI와 블록체인 기술이 현대 금융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AI는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복잡한 패턴을 예측하며, 재무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된 구조와 투명성을 통해 거래의 신뢰성과 보안을 보장한다. 이 두 기술의 발전과 융합은 금융 서비스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하고 금융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곽승욱

    곽승욱[email protected]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필자는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와 텍사스공과대에서 정치학 석사와 경영통계학 석사, 테네시대에서 재무관리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재무관리 교수로 11년간 근무한 후 현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재무학/경제학, 기업가치평가, 투자, 금융시장과 규제 등이다. 근무한 후 현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재무학/경제학, 기업가치평가, 투자, 금융시장과 규제 등이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