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 필자
DBR 필자와 필자의 아티클을 소개합니다.
-
손정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배터리재활용연구단 책임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배터리재활용연구단 책임연구원
필자는 서울대 자원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금속회수연구실장, 도시광산실장, 광물자원연구본부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배터리재활용연구단의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2006년 환경부장관상에 이어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을 수상했으며 배터리 물질을 비롯한 자원 제조 및 재활용 분야의 전문가로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
한신
에이치투(H2) 대표
에이치투(H2) 대표
한신 대표는 연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매디슨에서 석사 학위를, KAIST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0년 국내 최초의 바나듐플로배터리(VRFB) 기술 벤처기업인 에이치투를 설립해 6개국에 총 31㎿h 규모의 상업용 VRFB ESS 사업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신기술실용화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고, 올해 미국 클린테크(Cleantech)그룹이 선정한 ‘APAC 클린테크 25’ 기업에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선정됐다. ‘APAC 클린테크 25’는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설립한 벤처 투자 기관 ADB벤처스가 후원하는 저명한 기후 기술 관련 상이다.
-
신민기
기자
객원기자
-
신수정
KT엔터프라이즈 부문장
KT엔터프라이즈 부문장
필자는 서울대 기계설계학 학사·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전산설계학 박사 학위를 받은 정보보안·정보통신기술(ICT) 업계 전문가다. SK인포섹(현 SK쉴더스) 대표를 지냈고 2016~2018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법령평가 전문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2014년 말부터는 KT에 합류해 KT IT기획실장 겸 CIO로 그룹 내부의 탈통신·DX 전략을 이끌었다. 현재는 KT 기업사업 부문에서 확대 개편된 B2B 조직 엔터프라이즈부문장을 맡아 KT의 B2B 사업, 대외 DX 사업을 지휘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메타버스산업협회장으로도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거인의 리더십』 『일의 격』 등이 있다.
-
유서영
소풍벤처스 기후 네트워크 TF Lead
소풍벤처스 기후 네트워크 TF Lead
창업을 통해 스타트업 생태계에 발을 들인 이후 2019년 소풍벤처스에 합류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방법론 교육 프로그램인 ‘임팩트액셀러레이팅 마스터코스’, 농식품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임팩트어스’, 기후 기술 특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임팩트클라이밋’ 등 다양한 산업 특화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현재 소풍벤처스에서는 기후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주재훈
동국대 WISE캠퍼스 명예교수
동국대 WISE캠퍼스 명예교수
주재훈 교수는 부산대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국대 WISE캠퍼스에서 29년간 경영학 교수로 있으면서 기획처장, 경영대학원장 및 상경대학장 등의 보직을 맡았다, 미국 네브래스카대와 포틀랜드대 객원교수를 지냈고 한국정보시스템학회장과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동국학술상과 국내외 다수의 학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10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게재, 18편의 저서를 출간했다.
-
조호연
딥스킬 연구소장
딥스킬 연구소장
LG전자 전략기획 및 상품기획, 브레빌 데이터 분석팀, 헬스케어 데이터컨설팅 회사를 거친 전략가 출신의 데이터과학자이다. 서울대 경영학과, 영국 케임브리지대 MBA를 거쳐 호주 NSW(뉴사우스웨일즈)대에서 데이터과학 석사 과정을 밟았다. 현재 딥스킬(deepskill.io)의 연구소장으로 강의, 출판, 컨설팅을 통해 여러 기업 및 조직의 데이터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
윤재영
홍익대 디자인학부 교수
홍익대 디자인학부 교수
필자는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RISD)에서 시각디자인 학사를, 카네기멜론대에서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석사와 컴퓨테이셔널 디자인(Computational Design)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실리콘밸리에서 UX 디자인 리서처로 근무했다. 주 연구 분야는 사용자 경험(UX), 인터랙션 디자인(HCI), 행동 변화를 위한 디자인 등이며 현재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사용자를 유인하고 현혹하는 UX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디자인 트랩』 『디자인 딜레마』가 있다.
-
선주현
플랫그라운드 대표
플랫그라운드 대표
필자는 연세대에서 도시계획 석사 학위를 받고 도시공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송도업무지구 및 부산금융센터의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의 PM을 수행했다,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호텔에서 호텔 개발 업무를 담당했다. SK디앤디에서 도심지에 사는 1인 가구를 겨냥한 ‘에피소드’ 프로젝트의 공간 기획 및 PM을 수행한 바 있다. 현재는 공간 디벨로퍼 ‘플랫그라운드(FLAT GROUND)’에서 사회적 환경을 반영해 가치를 전달하는 사용자 경험 중심의 공간 기획 사업을 하고 있다. 지역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간과 커뮤니티를 조성하며 도시재생 액셀러레이터 ‘크립톤엑스(KRYPTON-X)’의 파트너로도 활동하고 있다.
-
백상경
기자
동아일보 기자
-
송민주
위랩스페이스 대표
위랩스페이스 대표
필자는 IBM시스템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시작해 삼성SDS, 현대정보기술에서 근무하며 IT 교육 및 사내 기술 대학원 설립, 사내 IT 강사 양성 과정 기획•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현재는 유수의 대기업, 전문 교육 기관과 협업 해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IT 솔루션을 개발하는 에듀테크 기업 위랩스페이스 대표를 맡고 있다.
-
정혜련
하이어베스트 대표
필자는 2003년 일본 브룩컨설팅(현 퍼스트 어드밴티지 재팬)에서 인재 검증 업무를 시작한 HR 분야 전문가다. 2008년 미국계 인재검증기업 퍼스트 어드밴티지 코리아 대표를 맡아 국내 최초로 선진국형 평판 조회 시스템 (Background check system)을 도입했다. 2016년부터 헤드헌팅 기업 유앤파트너즈의 인재 검증 비즈니스 자회사 하이어베스트를 이끌고 있다.
-
이경희
퍼피유니버스 대표
퍼피유니버스 대표
필자는 영국 런던예술대에서 그래픽디자인을 전공하고 현대차그룹 광고대행사 이노션에서 약 20년간 프로모션 팀장 등을지냈다. 반려문화 콘텐츠 전문 회사‘퍼피유니버스’ 대표이며 관련 콘텐츠를 학문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한양대 문화콘텐츠학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사단법인 ‘반려동물지속가능협회’를 설립했으며 향후 반려인과 반려동물의 행복한 공존을 위한 다양한 활동과 캠페인을 펼칠 예정이다.
-
오동근
ORP연구소 부대표
OPR연구소 부대표
필자는 삼성직무적성검사(SSAT)를 비롯한 국내 유수 조직의 다양한 심리검사 및 역량진단 프로그램 개발을 주도해왔으며 조직 진단 및 개발 프로젝트와 교육 컨설팅을 수행했다. 성균관대에서 조직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역량 평가와 리더십 진단/개발 관련 연구와 사업을 하는 ORP연구소 부대표, 성균관대 겸임교수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블라인드 채용』 등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저술했다.
-
김진효
도구공간 대표
도구공간 대표
-
공경철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엔젤로보틱스 대표이사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엔젤로보틱스 대표이사
공경철 교수는 서강대 기계공학과 및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2006년 동 대학원 기계공학 석사를 거쳐 2009년 UC버클리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2011년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로 부임했으며 2019년부터는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제어이론을 전공하고 로봇공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인간의 능력을 로봇기술로 보완하기 위한 여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웨어러블 로봇을 상용화하기 위해 2017년 엔젤로보틱스를 창업하고 CEO 및 CTO를 맡고 있다.
-
박종훈
뉴로메카 대표
뉴로메카 대표
박종훈 대표는 포항공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013년 뉴로메카를 설립해 2022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시켰으며 포스텍 기계공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일본 히로시마대 객원연구원과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책임연구원, 심랩 기술이사를 역임했다. 2017년 한국로봇학회 선정‘올해의 기술상’ 수상, 공학한림원 ‘2025년 대한민국을 이끌 미래100대 기술 주역’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
이원주
디케이테크인 대표
디케이테크인 대표
이 대표는 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 서비스 담당 개발자로 활동한 바 있고 현재 디케이테크인 대표를 맡고 있다. 디케이테크인은 2010년 다음커뮤니케이션의 다음서비스 법인 내에 초기 조직이 설립됐으며 2014년 카카오가 다음을 인수함에 따라 카카오 계열사로 편입, 카카오 계열사의 IT 서비스 전반을 지원했다. 2015년 8월 IT 토털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법인 분할됐으며 사명은 다음카카오의 영문명 앞 글자를 딴 ‘디케이(DK)’와 ‘개발하는 사람(Tech와 인(人))’을 결합해 만들어졌다. 기술을 사람 중심으로 세상과 연결하고 가치를 창출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강보라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
필자는 미디어문화연구자다. 맛있는 걸 먹기만 해서는 치솟는 엥겔지수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여겨 음식 관련 글을 쓰기 시작했다.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AI와 더불어 살기』 등을 함께 썼고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발간하는 『한류백서』에서 ‘음식한류’를 2019년부터 지금까지 담당하고 있다.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대학에서 강의와 연구를 병행 중이다.
-
인가 카보니 · 앤드루 파커 · 난 S. 란고위츠
인가 카보니(Inga Carboni)는 윌리엄앤드메리대 조직행동학 부교수다.
앤드루 파커(Andrew Parker)는 더램대 리더십 교수다.
난 S. 란고위츠(NanS. Langowitz)는 뱁슨대 경영학교수다.
이 글에 의견이 있는 분은 http://sloanreview.mit.edu/x/63224에 접속해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