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 필자
DBR 필자와 필자의 아티클을 소개합니다.
-
나디아 브래셔(Nadia Brashier)
퍼듀대 조교수
퍼듀대 조교수
-
카타리나 슈미트(Katharina Schmid)
라몬룰대 에사드경영대학원 부교수
라몬룰대 에사드경영대학원 부교수
-
조나스 드 키얼스매커(Jonas De keersmaecker)
라몬룰대 에사드경영대학원 박사후연구원
라몬룰대(Ramon Llull University) 에사드경영대학원(Esade Business School)의 박사후연구원
-
박선웅
고려대 심리학부 교수
고려대 심리학부 교수
박선웅 교수는 성격심리학자로서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심리적인 개인차가 개인의 삶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정체성 형성이라는 개인차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정체성의 심리학』이 있다.
-
김재민이
작가
작가
선박 회사에서 직원으로 살아가다 영국에서 시각예술 교육을 받았다. 인천에서 도시 연구와 예술을 수행하다 반경을 넓히고 있다. 근래에는 유해 배출물을 뒤집어쓴 변두리 삶을 리서치하고 있다. ‘공장달리기 하인천’(인천아트플랫폼, 2022), ‘사슴은 무얼 먹고 사나요?’(경기도미술관, 2018) 등의 개인전을 개최했고, ‘잘 진 싸움과 지지 않을 싸움을 위하여’(호랑가시나무 베이스 폴리곤, 2022), ‘실현되지 않는 연극’(해동문화예술촌, 2022)을 비롯한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레이온 공장 달리기’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 ‘걷기, 헤매기’와 작가의 유튜브 채널 ‘Kim Gemini’에서 감상할 수 있다.
-
론 애드너(Ron Adner)
다트머스대, 터크경영대학원의 경영학 교수이자 전략 및 기업가정신 교수
다트머스대, 터크경영대학원의 경영학 교수이자 전략 및 기업가정신 교수
론 애드너는 『The Wide Lens: What Successful Innovators See That Others Miss』 『Winning the Right Game: Hoe to Disrupt, Defend, and Deliver in a Changing World』의 저자다. 두 번째 책은 지난해 6월 『올바르게 승리하라: 복잡하고 파괴적인 생태계 세상에서 판도를 바꿀 7가지 경영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 소개됐다. 이 기사에 의견이 있는 분은 http://sloanreview.mit.edu/x/63212에 접속해 남겨 주시기 바란다.
-
지희수
인터비즈 기자
인터비즈 기자
-
이창식
세명대 미디어문화학부 교수
세명대 미디어문화학부 교수
필자는 세명대 인문예술대 교수다. 문화재위원과 한국공연문화학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인문학의 상상력과 융합콘텐츠』(글누림) 등이 있다.
-
장수청
퍼듀대 호텔관광대학 교수
퍼듀대 호텔관광대학 교수
필자는 미국 퍼듀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캔자스주립대 조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경영 전략, 재무 관리, 관광객 행동 분석 등을 연구, 강의하고 있다. 현재 퍼듀대 호텔관광 및 리테일 산업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센터(CHRIBA) 센터장을 맡아 빅데이터를 활용한 호텔관광 산업의 변화와 디지털 전환 관련 연구를 하고 있다. SSCI급 국제저널에 250여 편의 논문을 출간했다. 아시아태평양관광학회(Asia Pacific Tourism Association) 학술 부문 의장(2015~현재)과 야놀자리서치 원장(2023~현재)으로 호텔관광 산업의 산업 동향 파악과 산업 이슈 분석에 주력하고 있다. 저서로 『Planning Research in Hospitality and Tourism』이 있다.
-
김은영
텍사스 오스틴대 정책학 박사
텍사스 오스틴대 정책학 박사
필자는 서울대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대(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통계학 석사학위와 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 행정대학원 국제개발협력평가센터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개발협력사업 평가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국제개발협력 정책, 개발도상국가 국가통계역량, 개발원조데이터의 수집과 활용 등이다.
-
정진우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리서치팀장, 경제학 박사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리서치팀장, 경제학 박사
필자는 중앙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미국 클리블랜드주립대에서 도시계획 석사, 한양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부동산 경제 분야 전문가다. 현재 미국계 상업용 부동산 컨설팅 회사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에서 리서치팀장으로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관한 자료 조사 및 분석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DBR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상업용 부동산 관련 강의를 진행한 바 있으며 경제학과 머신러닝을 이용해 상업용 부동산 분야의 질적인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
김세한
SAP Korea BTS 본부장
SAP Korea BTS 본부장
김세한 본부장은 LG-EDS Systems에서 개발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해 LG화학 정보전략팀에서 IT기획/업무혁신 업무를 담당하고, 딜로이트컨설팅 이사, IBM 상무를 역임했다. 현재 SAP코리아의 BTS(Business Transformation Services) 본부장으로 전사적 자원 관리(ERP) 솔루션 고객의 크라우드 전환 전략, 프로세스 마이닝, AI & 데이터 분석, sustainability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다. 서강대에서 경영정보시스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데이터 컨설팅 기업인 딥스킬(Deepskill)의 고문으로도 활동 중이다.
-
이주헌
피츠버그대 방사선학과 교수
피츠버그대 방사선학과 교수
필자는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 오스턴대 전기컴퓨터공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대 방사선학과 교수로 미국에서 손꼽히는 대형 병원인 피츠버그대 의료센터(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에서 유방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유방암 인공지능 연구를 이끌고 있다.
-
서유미
서울시립대 경영대 교수
서울시립대 경영대 교수
필자는 서울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KDI 국제정책대학원에서 정책학석사(MPP), 코넬대 산업노동관계학과에서 조직행동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인사조직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연구 분야는 조직 정의, 리더십, 조직 문화, 조직 내 다양성 관리 및 ESG 경영 등이다. Journal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RIIR, 인사조직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등의 국내외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으며 인사조직연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
최석환
㈜히타치에너지코리아 대표이사
㈜히타치에너지코리아 대표이사
필자는 연세대 경제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를 취득했다. 학부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했으며, 현대중공업에서 전기설계 업무를 맡은 것을 시작으로 ABB에서 전력 분야 기술영업담당, 영업총괄임원으로 근무했다. 2019년 ABB의 파워 그리드 사업본부가 분사하면서 대표를 맡았다. ABB 파워 그리드는 2021년 11월, 히타치에너지코리아로 사명을 변경했다.
-
김현지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DBR) 사업전략팀장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DBR) 사업전략팀장
필자는 동아일보와 채널A에서 산업 및 경제 이슈를 집중 취재 보도해 왔다. 서울대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DBR의 경제·경영 챗봇 ‘AskBiz(가칭)’를 개발하고 있다.
-
유병준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미국 카네기멜론대 경영학 박사 학위 취득 후 홍콩과학기술대, 고려대 경영대 교수 등을 역임한 후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서울대 AI연구원 금융경영 선도혁신 연구센터장, 국민통합위원회 경제계층분과위원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플랫폼 전략, IT 벤처기업 창업 등이다. 각종 공공 기관,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네이버, 카카오 등 주요 인터넷 기업과 LG, 신한은행 등 국내 대기업의 IT 정책 및 전략 자문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
이진열
한국시니어연구소 대표
한국시니어연구소 대표
이진열 대표는 대학 재학 시절 K팝 팬덤 서비스 ‘마이돌’을 창업해 글로벌 14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재학생 창업자 최초로 서울대 졸업생 대표 연설을 했다. 마이돌 서비스 매각 후 오프라인 중심의 요양 산업을 IT와 서비스로 혁신하는 실버테크 기업 한국시니어연구소를 재창업했다. 한국시니어연구소는 국내 최다 지점 수를 보유한 요양 서비스 플랫폼 스마일시니어를 운영하고 있으며 설립 2년 만에 누적 투자액 123억 원을 유치했다.
-
이한규
인터비즈 기자
인터비즈 기자
-
염희진
객원기자
객원기자
성균관대 경영학과 졸업 후 동아일보에 입사해 문화부와 국제부 등을 거쳤다. 18년차 언론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