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의 발전으로 ‘UI가 사라진(제로UI)’ 직관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들이 늘어날 전망이다. 대표적으로 AI비서는 개인화된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뿐 아니라 기업의 업무 환경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특히 AI비서가 잡무를 대신해 주면서 고도의 판단력과 의사결정 능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기업은 AI 기술의 도입과 더불어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훈련을 병행해야 하며 암묵지 중심의 의사소통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화 아이언맨에 등장한 ‘자비스’에 못지않은 AI비서가 현실화되고 있다. 오픈AI의 챗GPT가 그 포문을 연 데 이어 구글, 애플 등이 잇달아 AI 서비스 출시를 예고하면서 빅테크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하다. 구글은 5월 ‘프로젝트 아스트라’를 통해 최신 AI 모델인 제미나이를 기반으로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한 번에 처리하는 멀티모달 AI 어시스턴트를 발표했다. 애플이 6월 발표한 ‘애플 인텔리전스’에서 음성 비서 ‘시리’는 AI에 힘입어 훨씬 더 똑똑해졌다. 연락처, 메시지 등에서 사용자에 대한 맥락 정보를 파악해 여러 앱을 알아서 오가며 사용자의 지시를 빠르게 수행한다. 이처럼 똑똑한 AI비서의 등장은 단순히 기술 발전의 수준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 인간과 컴퓨터 간 상호작용의 성격 자체를 바꿔놓는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다. 그동안 사용자와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해 존재했던 수많은 유저 인터페이스(UI)들이 AI비서로 인해 불필요해지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인간과 컴퓨터를 연결해주던 매개체가 사라지는 ‘제로UI’의 시대가 코앞에 다가온 것이다. 2025년 제로UI는 본격적으로 소비자 경험뿐 아니라 업무 환경을 바꿈으로써 기업의 의사결정에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AI로 인한 사용자 경험의 변화를 ‘제로UI’라는 키워드로 정의하고 그 의미와 대응 방안을 소개한다.
강양석 대표는 뉴로심볼릭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의사결정 에이전트를 만드는 딥스킬을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전략 컨설팅업체, 인공지능 서비스 상장회사 임원을 역임했다. 현재 딥스킬에서 아규멘테이션 테크놀러지 분야의 세계적 석학들과 공동 연구를 통해 소크라테스식 문답기반 의사결정 훈련, 측정, 지원이 가능한 에이전트 서비스를 국내외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