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의 시대다. 식품 회사가 반도체 소재를, 필름 회사가 화장품과 의약품을 선보였다. 제조 강국 일본을 대표하는 기업 아지노모토와 후지필름의 이야기다. ‘감칠맛’ 조미료로 세계를 석권한 아지노모토는 핵심 역량인 아미노산 기술로 반도체 필수재 ‘아지노모토 빌드업 필름(ABF)’을 개발하고 사업 영토를 확장했다. 컬러 필름 시장의 위축으로 위기를 맞았던 후지필름은 패러다임을 전환해 화려한 부활에 성공했다. 자신들이 보유한 12가지 핵심 기술을 식별하고 고객 관점의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화장품, 나아가 헬스케어라는 미래 성장 동력을 찾아냈다. ‘안경계의 유니클로’ 진스(JINS)는 700년간 정체했던 안경 시장에서 센서를 장착한 ‘웨어러블 안경’으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의 혁신 비결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핵심 원천 기술의 축적, 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 대응, 외부와의 개방적 협력이다.
지금 전 세계는 그 어느 때보다 빠른 기술 발전과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에 직면해 있다. 이렇게 급변하는 트렌드에 대응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혁신이 필수적이다. 제조 강국 일본의 기업들도 혁신을 통해 변화에 적응하고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조미료 기술을 반도체 소재로 확장한 아지노모토, 안경 사업에 집중하며 혁신을 이뤄낸 안경 제조사 진스(JINS),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사업 영역을 넓힌 후지필름의 사례는 불확실성이 큰 시대에 혁신이 어떻게 탄생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제공한다.
조미료와 만두에서 반도체 소재까지, 아지노모토
냉동 만두, 반도체 재료,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이 두 가지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있다. 일본의 조미료 회사인 아지노모토(Ajinomoto)다. 아지노모토는 100여 년 전 세계 최초로 감칠맛 조미료를 상품화한 식품 제조업체다. 단맛과 신맛, 짠맛, 쓴맛에 이어 일본에서 탄생한 ‘감칠맛’은 이제 ‘우마미(UMAMI)’라는 용어로 세계에서 통용될 정도다.
아지노모토가 세계에 이름을 알리게 된 계기는 2021년 도쿄 올림픽이었다. 당시 도쿄 올림픽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선수들의 행동이 엄격하게 관리되며 외출이 제한됐다. 그런 가운데 선수촌 식당에서 제공된 풍성한 메뉴는 선수들 사이에서 화제가 됐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인기가 많았던 것은 만두였다. ‘선수촌 내에서 금메달은 만두’라는 코멘트와 함께 선수들은 SNS에 만두를 먹는 모습을 올리기 바빴는데 이 만두가 아지노모토의 제품이었다.
필자는 미국 인디애나대에서 경영학학사(MBA)를 취득한 후 글로벌 컨설팅사 LEK 도쿄 지점에서 경영 컨설턴트로 근무했다. 현재는 산업 및 기업 정보 분석 플랫폼을 제공하는 일본 유자베이스(Uzabase)에서 애널리스트로 활동 중이다. 저서 『도쿄 리테일 트렌드』 『도쿄 트렌드 인사이트』를 출간했고 일본의 트렌드 관련 칼럼을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