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정재승의 Money in the Brain

뇌영상으로 풀어본 ‘브랜드 납치’

정재승 | 18호 (2008년 10월 Issue 1)
기업이 매출액을 높이려면 여러 전략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자사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일은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수십 만 개의 브랜드가 시장에 쏟아지고, 경쟁사가 출시하는 새로운 브랜드만도 매년 수십 개에 이르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머릿속에 ‘좋은 이미지’의 브랜드를 각인시키기 위해서는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브랜드를 제대로 각인시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보여 주는 단적인 실험이 하나 있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회색 장난꾸러기 토끼 ‘벅스 버니’가 출연하는 디즈니랜드 광고를 제작해 피험자들에게 보여 준 뒤 ‘디즈니랜드에서 벅스 버니를 본 적이 있는가’라는 설문조사를 했다. 응답자 중 대부분은 디즈니랜드에서 버니를 보거나 만난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으며, 미키마우스와 같이 있는 것을 보았다거나 악수했다는 식의 구체적인 답변을 들려주기도 했다.
 
그러나 사실 벅스 버니는 워너브러더스사가 만든 캐릭터이기 때문에 디즈니랜드에서 볼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단히 제작된 광고 한 편이 사람들의 기억을 조작한 것이다. 물론 이 실험 속 광고는 처음부터 사람들을 속이기 위해 제작된 것이지만, 굳이 속이려 하지 않아도 우리의 뇌가 매일 수백 편 쏟아지는 광고 속에서 제대로 된 브랜드 기억을 가질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소비자들, 유사상품 비교해 구매
최근 들어 심리학자들은 의미 있는 숫자 나열이 긍정적인 브랜드 각인효과를 가져다준다는 연구 결과를 내 놓았다. 이에 발 맞춰 숫자를 집어넣어 브랜드 광고를 하는 회사가 늘고 있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에서 출시한 청소년 음료 ‘187168’은 ‘키 크는 음료수’를 표방해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키인 187㎝(남자), 168㎝(여자)에서 착안한 제품명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숙취음료 ‘여명808’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808번의 실험 끝에 만든 일화를 제품명에 이용함으로써 브랜드 각인효과를 톡톡히 보았다.
 
마케팅 컨설턴트인 알렉스 위퍼퍼스는 지난해 ‘브랜드납치(Brand Hijack)’라는 개념을 세상에 내놓았다. 기업들은 스스로 고객들이 원하는 브랜드를 출시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막상 시장에는 유사 상표가 많다. 고객들이 여러 브랜드를 비교하고 경험한 뒤 최종 구매 결정을 하는데 위퍼퍼스는 이를 ‘브랜드 납치’로 표현했다. 기업이 제품 판매를 강요하는 게 아니라 소비자 스스로의 판단으로 상품을 ‘채간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SK텔레콤의 활동이 브랜드 납치의 대표적인 성공 케이스다. SK텔레콤은 당시 공식 월드컵 후원 업체가 아니면서도 공격적인 ‘앰부시(매복) 마케팅’을 통해 투자 대비 효용을 극대화했다. SK는 전면에 브랜드를 내세우기보다 철저히 고객이 열광하는 ‘붉은 악마’ 문화에 순응해 뒤에서 보조하는 역할을 했다. 한국 대표팀 응원단을 후원하면서 회사가 사용한 금액은 50억 원에 불과했지만, ‘비 더 레즈(Be the Reds)’ 티셔츠와 응원 구호를 통한 홍보 효과는 당시 KTF 같은 공식 후원사를 넘어선 것으로 분석됐다.
 
지금으로부터 20년 전에 콜라 시장의 절반 이상을 코카콜라에 내준 펩시콜라는 ‘펩시 챌린지’라고 불리는 길거리 시음대회를 통해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도심 한복판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의 눈을 가리고 코카콜라 한 잔과 펩시콜라 한 잔을 마시게 한 뒤 ‘어느 콜라가 더 맛있는지’ 물어보는 대회였다. 흥미로운 것은 이 시음대회에서 펩시콜라를 선택한 사람이 훨씬 더 많았다는 사실이다. 이 광고는 상대적으로 코카콜라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펩시콜라의 매출액을 크게 늘리는 계기가 됐고, “사람들은 왜 시음대회에서 펩시콜라를 더 많이 골랐던 것일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콜라시장 1등을 코카콜라가 차지하는 이유는 또 무엇일까?”와 같은 수많은 의문을 남기기도 했다.
 
펩시콜라, 뇌활동으로 찍어보니…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신경생리학자인 미국 텍사스 베일러대 의대 리드 몬태규 교수와 새뮤얼 매클루어 교수 연구팀은 ‘펩시 챌린지’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치(fMRI) 안에서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fMRI 장치 안에 피험자를 들여보낸 뒤 빨대로 콜라를 넣어 주고 펩시콜라를 마실 때와 코카콜라를 마실 때 뇌 활동을 촬영한 것이다. 과연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