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스타 선수가 신기술을 빛나게 한다

김한얼 | 39호 (2009년 8월 Issue 2)
최근 수년간 세계 남자 테니스계를 양분하고 있는 로저 페더러와 라파엘 나달의 경쟁은 여러 면에서 테니스 팬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페더러는 땀 한 방울 안 흘리고 숨가쁘게 내뱉는 호흡도 없이 우아하게 코트를 누비는 스타일이다. 반면 나달은 터질 듯한 근육과 지치지 않는 체력으로 베이스 라인에서 강력한 톱스핀 포핸드를 구사한다. 너무나도 대조적인 스타일의 두 선수는 숙명의 라이벌로 군림하며 테니스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 그랜드슬램 대회 결승에서만 일곱 차례나 맞대결을 펼쳤고, 2005년 7월 이후 세계 랭킹 1, 2위는 언제나 두 선수의 몫이었다.
 
두 선수의 무기인 테니스 라켓도 두 사람의 경기 스타일만큼이나 다르다. 라켓 헤드의 표면적부터 보자. 페더러는 90제곱인치(580㎠), 나달은 100제곱인치(645㎠) 라켓을 사용한다. 라켓 프레임의 두께 차이도 상당하다. 페더러의 라켓은 라켓 끝부터 그립 부분까지 17mm로 일정하다. 반면 나달이 사용하는 라켓은 모두 페더러의 라켓보다 두껍다. 끝 부분은 23mm, 그립 부분은 26mm에 달한다. 라켓 헤드 표면적과 프레임의 두께 차이를 가져온 이 기술 혁신은 각각 오버사이즈(oversize)와 와이드바디(widebody)로 불린다. 테니스 라켓의 진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를 받는 혁신이기도 하다.


 
하지만 테니스 산업에서 오버사이즈나 와이드바디처럼 항상 성공한 기술 혁신만 있었던 건 아니다. 많은 독자들은 테니스 라켓 줄이 항상 가로세로로 새겨져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라켓 줄이 대각선 방향으로 존재했던 데이비스의 ‘톱스핀 라켓’, 가로-세로-대각선의 네 방향으로 존재했던 매드라크의 ‘애틀랜타 라켓’ 등도 있다. 심지어 라켓 헤드가 목과 손잡이 부분에서 42도 각도로 기울어진 스너워트의 ‘에르고놈 라켓’, 라켓 그립의 끝 부분이 15도로 꺾여 있던 ‘센트라 그립 라켓’도 존재한다. 희귀 테니스 라켓을 수집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어지간한 테니스광이라도 이런 라켓들이 있다는 것조차 몰랐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테니스 라켓의 역사를 자세히 살펴보면 이처럼 잘 알려지지 않은 기술 혁신들이 수없이 등장했다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탁월한 혁신 기술의 실패
 
그렇다면 오버사이즈나 와이드바디 라켓처럼 성공한 혁신과 실패 혁신 사례의 차이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성공 혁신 사례는 성능 면에서 뛰어났기에 소비자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었고, 실패한 혁신들은 성능 면에서 열등했기에 실패했으리라 생각한다. 특히 앞서 언급한, 상상만으로도 모양이 이상한 실패 라켓은 그 성능이 매우 뒤떨어졌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전적으로 사실이 아니다. 기술의 우월함이 성공으로 직결된다는 일반적 믿음이 가져온 오류일 뿐이다. 미국 <월드 테니스(World Tennis)>라는 잡지가 197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까지 발표해왔던 라켓 성능에 관한 자료를 보자. 그 결과는 라켓의 기술 혁신이 시장에서의 성공과 일치하지 않음을 잘 보여준다. 라켓 헤드를 42도 기울여 선수들의 손목 부담을 줄여준 스너워트의 에르고놈 라켓은 1984년에 나온 라켓 중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다. 라켓 줄이 네 방향으로 놓여진 매드라크의 애틀랜타 라켓도 1989년 제품 중 호평을 받았다.
 
반면 테니스 라켓 산업의 가장 중요한 혁신으로 칭송받는 프린스의 초창기 오버사이즈 라켓은 평균 이하의 점수를 받는 데 그쳤다. 최소한 테니스 라켓 산업에서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듯 기술 발달로 인한 혁신이 상업적 성공으로 직결되지 않았다.
 
에르고놈 라켓이나 애틀랜타 라켓의 모양이 이상해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았다고 주장할 독자도 있겠다. 라켓 헤드가 기울어져 있거나, 라켓 줄이 네 방향으로 존재한다면 그 모양이 이상한 건 당연하다. 그러나 오버사이즈 라켓도 처음 나왔을 때 소비자들로부터 “저 라켓은 쓸데없이 왜 이렇게 큰 거야”라는 평가를 받았다. 기술 혁신이 한 산업의 실질적 표준(de facto standard)으로 자리잡을 정도로 상업적 성공을 거뒀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인식이 달라졌을 뿐이다. 즉 오버사이즈 라켓의 성공 후에 소비자들이 ‘라켓의 헤드가 클수록 더 좋은 라켓’이라고 여기기 시작한 셈이다.
 
프린스의 오버사이즈 라켓이 처음 등장한 1976년을 보자. 과거 나무로 만들어졌던 테니스 라켓은 헤드 크기가 70제곱인치(450㎠)에 불과했다. 반면 오버사이즈 라켓의 헤드는 기존 라켓보다 60%나 큰 110제곱인치(710㎠)에 달했다. 이 제품이 처음 나왔을 때 많은 사람들은 누가 이런 라켓을 쓰겠냐며 조롱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테니스 라켓이 발전해야 할 방향과 정확히 반대에 위치한다” “라켓 표면이 크니 심리적 안정감이 필요한 초보자는 혹시 쓸지도 모르겠다”며 비판했다. 이 사건이 주는 시사점은 간단하다. 즉 혁신의 성공 요인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현재 시점이 아니라 그 혁신이 시장에 등장했을 당시의 상황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기존 제품과는 판이하게 다른 혁신 제품이 시판되면 소비자들은 큰 혼란에 빠진다. 2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혁신 제품은 소비자들이 친숙하게 여기던 기존 제품과는 전혀 다른 기능과 형태를 제공하기에 소비자의 심리적 거부감을 불러일으킨다. 둘째, 신제품의 새로운 기능들이 과연 제조회사가 주장하듯 소비자들에게 더 큰 효용을 가져다줄지도 의문이다. 테니스처럼 전통이 중요한 산업에서는 혁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 반응이 더 크다.

가입하면 무료

  • 김한얼

    김한얼[email protected]

    가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필자는 고려대에서 경영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 홍익대 교수 등을 역임했다. 주 연구 분야는 혁신 전략 및 신사업 개발 전략이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