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일본기업 사례

‘고령자’로 묶지 않고 타깃 세분화. 도심 피트니스센터가 오전에 붐빈다

김양팽 | 226호 (2017년 6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일본을 보면 한국의 미래가 보인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 물론 문화적 차이, 내수시장 구조의 차이도 있지만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를 한국보다 앞서 겪었다는 점에서 한국 기업들이 참고하고 연구할 만한 부분이 많은 건 사실이다. 현재 일본은 도요타 등 제조업 대기업들부터 유통업체들에 이르기까지 인구구조 변화에 맞는 방식으로 고용전략을 바꾸고 있으며 크게 변화하는 소비시장에 맞는 새로운 전략을 짜서 대응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고민해야 하는 전략적 과제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건강 상태에 따라 고령자 시장을 세분화하라.
2) ‘신뢰와 편의성’ 제공으로 위축되는 시장에서도 성장할 방법을 찾아라.
3) 업종에 따라서는 모든 세대를 융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성장할 수도 있다.

20230629_112133



최근 한국에서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얘기가 나올 때마다 사람들은 자연스레 일본을 떠올린다. 20여 년 전부터 심각한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겪었기 때문이고, 지금 한국의 저성장 기조에 훨씬 앞선 시점에서 심각한 경제불황을 겪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혹자는 인구구조 변화와 정책 실수가 맞물리면서 일본의 경제 불황이 심해졌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1 수출 대기업 위주의 경제와 강력한 국가주도 성장모델을 갖고 있었고, 관료 시스템부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유사한 국가경제와 산업구조를 갖고 있는 일본은 한국 입장에서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교훈을 얻어야 하는 대상임은 틀림없다. 먼저 일본 인구구조의 현황부터 살펴보자.

일본 내각부 통계에 따르면 2016년 평균 일본의 인구는 약 1억2700만 명이며 2008년 1억2800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감소폭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저출산 등의 이유로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노령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2008년에 65세부터 74세까지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보다 많아졌으며 급기야 2016년에는 75세 이상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보다 많아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일본 사회의 노령화는 일본 경제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노동인구 감소로 인해 고령자의 사회활동이 연장되고 있으며 노령화 진전과 함께 소비력을 가진 고령자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20230629_112141


일본의 노동력인구는 1998년 6793만 명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2000년대 초반부터 일본 정부와 언론은 노동력인구 감소로 인한 영향에 커다란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일본 정부는 인구 감소 속도를 줄이기 위해 출산장려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고, 감소하는 노동력인구를 대체하기 위해 여성의 사회 진출을 장려했다. 또한 원천 봉쇄된 것과 다름없었던 단순 생산직에서의 외국인 근로자 채용이 조금씩 가능해지도록 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은 여전히 저조한 상태이며, 여성 노동력의 확대는 기대만큼 늘어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에서 그동안 다양한 출산장려책과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책을 써왔음에도 큰 효과를 보지 못했던 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여전히 외국인 근로자가 일본에서 단순 생산직의 일자리를 구해 일본에서 생활하기에 용이한 여건이 조성돼 있지 않다.

그런데 최근 특이한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감소 추세에 있던 일본의 노동력인구가 2012년 이후 증가하기 시작한 것이다. 일본의 전체 인구가 감소하고, 특히 15세에서 64세까지의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노동력인구가 오히려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했다는 얘기다. 어떻게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던 것일까? 그것은 바로 65세 이상 고령자들의 생산활동 참여기회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일본의 근로자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60세 정년퇴직 이후 연금을 받으며 노후생활을 하는 것이 전형적인 노후생활의 형태였으나 지금은 60세 이후에도 계속해서 일하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다. 그 배경을 살펴보면 일본의 국민연금 수령연령이 60세에서 65세로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돼 적어도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65세까지는 경제활동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20230629_112147


본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우선 인구 노령화에 대응하는 일본 기업들의 다양한 고용사례와 전략을 다룬다. 이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일본 소비시장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한국 기업들이 일본의 사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전략을 정리한다.

가입하면 무료

  • 김양팽 [email protected]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위원

    필자는 니혼(日本)대 상학연구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한 뒤 주일본 한국대사관 경제과 연구원을 거쳐 현재 산업연구원 신산업연구실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경영전략을 전공했으며 일본의 신산업, 반도체 산업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