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lose Up

창조는 노동이며 프로세스…매일매일 매진하는 강박이다

한근태 | 185호 (2015년 9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최초로 사물인터넷(IoT)이란 용어를 만든 케빈 애슈턴은 창조가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영감의 산물이 아닌노동의 결과물이라고 말한다. 습관, 강박, 집착, 사명이란 키워드로 하루 종일, 매일 매진한 사람들이 창조의 대가가 됐다. 뛰어난 창조자들은 대개고통의 극한점을 통과하는 순간 유레카를 외쳤다. 창조를 막는 장애물 중 으뜸은 관성이다. 창조란 남들이 그냥 관습적으로 지나쳐 보는 것, 믿는 것은 의심하는 데서 출발한다. 창조를 위해 예상치 못한 것을 보려면 아무 것도 예상하지 말아야 한다.

 

새로운 것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위대한 예술작품이나 신기술은 어떻게 탄생하는 것일까? 창조적인 사람이나 창조적인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고민하는 주제다. 이 책은 그런 것에 관한 것이다.

 

창조하면 연상되는 신화 같은 얘기들이 존재한다. 갑자기 영감이 떠오르고, 꿈속에 계시를 받고,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았는데 한순간에 뭔가 탄생한다는 식이다. 보통 사람들은 할 수 없고 창조적인 소수의 사람만이 할 수 있다는 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창조적이기 위해선 경치 좋은 곳에서 충분한 시간을 갖고 유유자적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직으로 말하면 출퇴근시간도 제한하면 안 되고 뭐든 그들이 원하는 것을 충분히 지원하면 언젠가 창조적인 그 무엇이 나온다는 주장이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그런 신화는 잘못이고 완전한 허구다. 이 책의 저자는 최초로 사물인터넷(IoT)이란 용어를 만들고 오랫동안 매우 창조적인 일을 한 사람이다. 그가 주장하는 창조란 무엇일까?

 

창조의 핵심은 노동

 

창조의 핵심은 노동이다. 한 가지 주제를 갖고 꾸준히 노력할 때 결과물로 나오는 것이 창조다. 창조 행위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하루 종일, 매일매일 매진해야 한다. 창조는 내킬 때만 하는 행위가 아니다. 습관이고, 강박이고, 집착이고, 사명이다. 모든 창조자들은 가진 시간 거의 전부를 창조를 위한 노동에 사용한다. 하룻밤 사이에 일어난 성공은 드물다. 창조는 프로세스다. 갑자기 점프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를 거쳐 창조에 이른다. 별다른 고민 없이 가만히 있었는데 번쩍하며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일은 있을 수 없다. 그건 말도 되지 않는 일이다. 20세기 음악에 대변혁을 일으킨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매일 아침 피아노로 바흐의 푸가를 연주했다. 그 다음 10시간 일을 했다. 점심식사 전에 작곡을 했고 점심 후에는 오케스트라 편곡을 했다. 그는 영감이 찾아오길 기다리지 않았다. 처음에는 영감을 인식할 수 없지만 작업 그 자체가 영감을 준다. 창조를 위해서는 일정하게 혼자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창조를 이루는 주 성분은 시간이다. 최고 품질의 시간을 창조에 사용하라.

 

아르키메데스가 경험한 유레카 순간의 의미는 무엇일까? 그는 오랫동안 이 왕관이 순금인지, 아닌지를 밝혀야만 하는 숙제에 시달렸다. 한번도 해본 적 없는 과제를 받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밤낮으로 고민했다. 그러던 어느 날 목욕탕 물이 넘치는 걸 보면서 번쩍 스파크가 튄 것이다. 만약 아무런 고민도, 숙제도 없는 사람이 물 넘치는 걸 보고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었을까? 있을 수 없는 일이다. 1865년 화학자 아우구스트 케쿨레가 벤젠링을 발견한 과정도 이와 비슷하다. 그는 벤젠 구조를 밝힌 사람으로 유명하다. 꿈속에서 얻은 계시 덕분에 구조를 알게 됐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그는 이렇게 고백한다.

 

“교재를 쓰고 있었는데 진도가 나가지 않았습니다. 정신이 딴 데 팔려 있었지요. 그러다 난로 쪽에서 깜빡 잠이 들었습니다. 꿈속에서 또다시 원자들이 뛰어다니고 있었지요. 이번에는 비교적 작은 원자단이 배경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광경은 익숙해 여러 형태를 지닌 더 큰 구조를 구별할 수 있었습니다. 길게 늘어선 열이 때로는 엇물려 뱀같이 움직이고 휘감겨 얽혀 있었지요. 그때 원자 무리 중 하나가 자기 꼬리를 붙잡고 내 눈앞에서 비웃듯 빙글빙글 돌았습니다. 번쩍 번갯불을 맞은 듯 잠에서 깼습니다. 그날 밤, 가설의 결론을 알기 위해 시간을 보냈습니다.”

 

 

꿈에서 벤젠링 구조를 갑자기 발견한 것이 아니다. 그는 이미 오랫동안 벤젠링 구조를 밝히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해왔던 것이다. 유레카의 순간은 아무에게나 오는 것이 아니다. 한 가지 주제에 대해 오랫동안 공부하고, 고민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를 쓰고 있는 사람에게 결과물로 오는 것이다. 창조란 노동의 결과물이다.

 

창조는 반짝하는 아이디어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그것을 하나의 결과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 스파크가 바로 가시적인 성과물로 바뀔 수 있다면 세상에 창조적인 사람이 아닌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날개 없는 선풍기, 먼지봉투 없는 진공청소기를 만든 제임스 다이슨이 그렇다. 영국의 가전업체 다이슨을 설립한 그는 평범한 사람이다. 그는 먼지봉투가 꽉 차 흡입력을 잃은 진공청소기를 볼 때마다 분노를 느꼈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를 늘 고민했다. 그러던 어느 날 원심분리원리로 작동하는 집진기를 보고 집진기를 이용한 청소기를 만들면 어떨까 생각한다. 집진기는 필터가 없기 때문에 흡입력을 떨어뜨릴 요인이 없다. 메커니즘은 단순하다. 누구나 생각할 수 있다. 근데 개발 과정은 간단치가 않았다. 그는 바로 시제품을 만들면서 실험에 들어갔다. 제약이 많았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집진기를 만들어야 하고, 100만 분의 1m 크기의 집먼지를 흡입할 수 있어야 하고, 가정용 및 대량 생산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개발과정은 험난했다. 개발에 무려 5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고 5000개 이상의 시제품을 만들어야 했다. 보통 사람 같으면 포기했겠지만 그는 끈기를 갖고 버텨 개발에 성공했고 그 제품은 50억 달러 이상의 부를 가져다줬다. 그는 이렇게 고백한다.

 

 

 

“나는 매일 포기하고 싶었다. 세상이 자신을 적대하는 듯 보일 때 많은 사람들은 포기하지만 그때야말로 조금 더 밀고 나가야 한다. 계속 뛸 수 없을 것처럼 보이지만 고통의 극한점을 통과하는 순간 끝이 보이면서 괜찮아진다. 대개 모퉁이를 돌고 난 후 해결책이 등장한다. 창조는 고통이고, 인내이고, 끈기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