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lose Up

'하루하루의 깨달음이 살아가는 이유'

한근태 | 243호 (2018년 2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담론』은 신영복 교수의 성공회대 마지막 강연록을 녹취해 정리한 책이다.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무기징역형을 받고 1988년 특별 가석방으로 출소, 1998년 사면 복권된 신영복 교수는 20년 수감 생활과 동양 고전 연구를 통해 얻은 깨달음을 강연과 글로 풀어냈다. 그는 특히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가슴에서 끝나지 않고 발로 뛰는 공부를 해야 하며 그런 공부가 자기 자신과 세계를 바라보는 틀을 바꿀 수 있다고 강조한다.
 
135

성인의 경지에 이른 위인들의 공통점 중 하나로 수감 생활이 꼽힌다. 다산 정약용은 18년의 귀양살이를 통해 대학자가 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넬슨 만델라 대통령 역시 감옥생활을 거친 후 정치에 눈을 떠 노벨 평화상까지 수상했다. 이들은 혼자만의 시간을 통해 자신을 단련시켰다. 『담론』의 저자 신영복 교수도 감옥에서 오랜 세월을 보내면서 세상의 이치를 터득했다.

공부의 이유, 문사철과 시서화의 조화

저자에 따르면 인식에는 두 가지 틀이 있다. 문사철과 시서화다. 문사철은 이성, 시서화는 감성을 훈련한다. 우리는 언어로 사고하면서 문사철이란 인식 틀에 스스로를 과도하게 가두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언어라는 그릇은 지극히 왜소하다. 작은 컵으로 바닷물을 뜨는 것과 같다. 예컨대 역사는 역사가가 역사적 사실을 선별하고 재구성하는 것이다. 과거 역사를 온전히 재현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철학도 마찬가지다. 철학은 세계의 본질과 운동을 추상화한다. 신영복 교수는 이런 인식의 틀을 깨뜨리는 데서 공부가 시작된다고 강조한다.

신영복 교수는 공부의 이유를 문사철의 추상력과 시서화의 상상력을 유연하게 구사하고 적절히 조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우리 조상은 문사철과 시서화를 통해 이성과 감성 훈련을 동시에 받았다. 덕분에 추상력과 상상력을 따로 기르는 데 그치지 않고 이 둘을 적절히 배합해 구사할 수 있는 유연함을 발휘했다.

추상력이 복잡한 것을 간단하게 압축하는 것이라면 상상력은 작은 것에서 큰 것을 읽어내는 능력이다. 문사철은 개념과 논리를 만드는 추상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추상력은 복잡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문제 핵심이 무언지 정확하게 집어낼 수 있게 해준다. 문사철을 공부하는 목적은 얽혀 있는 문제에서 핵심을 요약하고 추출할 수 있는 추상력을 키우기 위해서다. 반대로 상상력은 작은 것, 사소한 문제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읽어내는 능력이다. 작은 것은 큰 것이 작게 나타났을 뿐이다. 겉으로 드러난 빙산의 일각만으로도 전체를 볼 수 있는 상상력을 키워야 한다. 사소하게 보이는 것만 있을 뿐 사소한 것은 없다. 한 마리 제비를 보면서도 봄이 왔다는 것을 알아챌 수 있어야 한다.

머리에서 가슴, 발까지의 여행

징역 초기 신영복 교수는 다른 수감자들과 잘 섞이지 못하는 왕따였다고 한다. 겉으로 내색은 안 했지만 다른 죄수들을 분석하는 습관 때문이었다. 죄수들은 그가 자신들을 업신여긴다고 생각했다. 왕따도 결국 자신이 변해야 벗어날 수 있다. 그는 다른 죄수들과 같은 환경에 처했다면 자신도 별반 다르지 않았을 것이란 깨달음을 얻으면서 생각을 고쳐먹는다. 다른 사람 생각에 관여하거나 고치려 하는 대신 그의 의견을 인정하고 존중하려 했다. 이런 과정을 ‘머리에서 가슴으로 내려오는 여행’이라고 그는 표현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행’이었다. 가슴이 공감과 애정이라면 발은 실제 변화를 의미한다.

공부란 두 발을 땅에 내딛는 노력이다. 저자는 감옥에서 문도득(道得)이라는 재미난 이름의 목수 노인을 만났다. 신 교수는 이 목수가 땅바닥에 나무 꼬챙이로 아무렇게나 집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는다. 목수는 주춧돌부터 시작해서 지붕을 맨 나중에 그렸다. 일하는 사람은 집 그리는 순서와 집 짓는 순서가 같았다. 하지만 저자는 지붕부터 그렸다. 여기서 저자는 실천하는 사람과 이론만 있는 사람의 큰 차이를 깨닫는다. 그는 목수의 집 그림 앞에서 자기 변화를 결심한다. 창백한 관념성을 청산하고 건강한 노동성을 키우기로 결심한다. 자기 개조를 시작한 것이다. 저자는 우선 기술을 배우고 일하는 품성을 키웠다. 신사복 만드는 일도 하고, 구두 만드는 일에도 도전했다. 나중에는 양화공 반장도 3∼4년 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왕따에서 벗어났다. 말투가 바뀌고 다른 수감자들로부터 인간적인 신뢰를 얻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처럼 차이와 다양성은 자기 변화로 이어지는 새로운 출발점이자 계기가 돼야 한다. 차이는 공존의 대상이 아니라 감사(感謝)의 대상이자 학습의 교본, 변화의 시작이 될 수 있다.

교도소 내 인간관계란 금전적 관계도, 명령과 복종의 권력 관계도 아니다. 말 그대로 인간성의 바탕 위에 세우는 관계다. 싸워도 압승이면 안 되고 신승이어야 한다. 험한 욕설도 주고받으며 다른 수감자와 비슷한 수준의 인격적 파탄을 보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싸움 이후 관계의 회복이 불가능해진다. 신영복 교수는 일부러 떡신자 노릇을 했다고 한다. 떡신자란 위문품이 있는 모든 종교집회에 빠짐없이 나타나는 사람이다.

교도소 기준으로 저자는 교정극난자로 분류됐다. 교정이 불가능한 자란 뜻이다. 감옥엔 이동문고가 있다. 개인이 사적으로 책을 갖고 있다가 사람들에게 돌리는 책을 말한다. 그에겐 책이 30∼40권쯤 있었지만 직접 갖고 있는 대신 사람들에게 다 깔아놨다. 하지만 그 책을 누가 보고 있고, 본 후에는 누구에게 가야 하고, 무슨 책을 누가 챙겨두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았다. 교도소 내에는 그들만의 막강한 네트워크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교도소는 목욕탕 수준의 적나라한 공간이다. 무엇 하나 숨길 수가 없다. 어항 속 금붕어 같다. 진정한 변화가 아니면 작동하지 않는다.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 교도소 표현으로 ‘멕기’가 벗겨진다고 한다. 보통 수감자들은 수감 일을 하나씩 지워나간다. 무기수는 하루하루가 의미 있어야 한다. 깨달음으로 채워지고 자신이 변할 수 있어야 그 긴 세월을 견딜 수 있다. 고통 자체가 안겨주는 엄청난 각성이 있다. 축구선수, 이동문고, 떡신자 생활은 그가 고통을 견디는 힘이 됐는데 그중에서 가장 큰 은혜는 깨달음이었다. 하루하루 누적된 작은 깨달음은 인내와 변화의 저력이 됐다. 인생 자체가 공부라고 저자는 말한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